- 백운화상어록
- 백운 경한 | 2019-09-10 | 978-89-7801-960-6(93220) | 신국판 | 342쪽
- 『한국불교전서』 제6책에 수록된 『백운화상어록』의 저본은 1378년(우왕 4)에 간행된 천령川寧 취암사 유판본留板本이며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1377년 7월에 청주 흥덕사興德寺에서 금속활자인 주자鑄字로 『직지심체요절』을 찍어 낸 이듬해에 다시 이 책과 『백운화상어록』 2권 1책을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1934년에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에서 일본 …
|
|
|
- 함께 배워요 한국어 6B
-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 편 | 2019-09-10 | 978-89-7801-966-8(14710) | 국배판 변형 | 176쪽
-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에서는 2002년부터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시작하였습니다. 그 후 지금까지 축적된 교육 역량과 연구 성과를 집약하여 2012년 출판된『함께 배워요 한국어 6』를 새롭게 개정하여 『함께 배워요 한국어 6A·6B』를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한국어를 배우는 고급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및 학문 목적 한…
|
|
|
- 함께 배워요 한국어 6A
-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 편 | 2019-09-10 | 978-89-7801-965-1(14710) | 국배판 변형 | 199쪽
-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에서는 2002년부터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시작하였습니다. 그 후 지금까지 축적된 교육 역량과 연구 성과를 집약하여 2012년 출판된『함께 배워요 한국어 6』를 새롭게 개정하여 『함께 배워요 한국어 6A·6B』를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한국어를 배우는 고급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및 학문 목적 한…
|
|
|
- 함께 배워요 한국어 5B
-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 편 | 2019-09-10 | 978-89-7801-963-7(14710) | 국배판 변형 | 199쪽
-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에서는 2002년부터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시작하였습니다. 그 후 지금까지 축적된 교육 역량과 연구 성과를 집약하여 2012년 출판된『함께 배워요 한국어 5』를 새롭게 개정하여 『함께 배워요 한국어 5A·5B』를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한국어를 배우는 고급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및 학문 목적 한…
|
|
|
- 함께 배워요 한국어 5A
-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 편 | 2019-09-10 | 978-89-7801-962-0(14710) | 국배판 변형 | 203쪽
-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에서는 2002년부터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시작하였습니다. 그 후 지금까지 축적된 교육 역량과 연구 성과를 집약하여 2011년 출판된『함께 배워요 한국어 5』를 새롭게 개정하여 『함께 배워요 한국어 5A·5B』를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한국어를 배우는 고급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및 학문 목적 한…
|
|
|
- 몽암대사문집
- 몽암 기영 | 2019-08-10 | 978-89-7801-956-9(93220) | 신국판 | 344쪽
- 『몽암대사문집 蒙庵大師文集 』은 조선 후기 승려인 몽암 기영 蒙庵箕穎 의 시문집이다. 2권1책이며, 동국대학교 소장 필사본과 김민영 金敏榮 소장 필사본이 알려져 있을 뿐, 인쇄본으로 간행된 적은 없다.『한국불교전서 韓國佛敎全書 』 제10권에 수록되어 있다. 시는 권두에 칠언시 42편, 칠언절구 5편, 칠언율시 32편, 오언율시 11편, 오언절구…
|
|
|
- 지범요기조람집
- 원효.진원 | 2019-07-25 | 978-89-7801-955-2(93220) | 신국판 | 305쪽
- 『지범요기조람집』(이하 『조람집』으로 약칭)은 신라 스님 원효元曉(617~686)가 지은 『보살계본지범요기』(이하 『요기』로 약칭)에 대한 일본 스님 진원眞圓의 연구서이다. 『요기』는 8세기경 일본에 전해져 꾸준히 활발하게 유통되고 연구되어 왔는데, 『조람집』에는 진원이 1282년부터 『요기』를 강의하면서 본서에 대한 다양한 연구서를 참조하며 본문을 이해…
|
|
|
- 이장의
- 원효 | 2019-07-10 | 978-89-7801-954-5(93220) | 신국판 | 251쪽
- 『이장의』는 신라 시대 최고의 학승인 원효元曉(617~686)가 불교의 번뇌설에 대해 종합해서 논의한 저술이다. 이장二障이란 번뇌장煩惱障과 소지장所知障으로서, 각기 번뇌라는 장애와 인식대상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장애한다는 의미이다. 번뇌에 대한 교설은 이미 초기불교 이래 다양하게 설해져 왔지만, 소지장 개념은 초기 유식 문헌인 「보살지」에서 …
|
|
|
- 처음 만난 관무량수경
- 김호성 | 2019-06-25 | 978-89-7801-951-4(03220) | 신국판 | 292쪽
- 아미타부처님의 회향을 대신해 꿈속에서도 염불춤을 추는 권진勸進, 김호성 “나무아미타불.” 소리가 쉽게 들리지 않고, 정토신앙을 말하는 선지식들의 목소리를 뵙기도 쉽지 않고,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증언하는 글들을 만나기도 어렵고, 정토신앙의 뿌리와 전개를 논의하는 토론 역시 만나기 쉽지 않은 현실이 안타까워 마침내 ‘출사표’를 던지고 “나무아미타불, 염불합시…
|
|
|
- 함께 배워요 한국어 2B(베트남어)
-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 | 2019-06-15 | 978-89-7801-953-8(13710) | 국배판 | 262쪽
-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시작한 지 15년이 되었습니다. 이에 지난 15년간 축적된 교육 역량과 한국어 교육 전문가로 구성된 집필진의 연구 성과를 집약하여 기존 교재인 『함께 배워요 한국어 2』을 새롭게 개정하여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한국어를 배우는 초급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한국어 교재…
|
|
|
- 함께 배워요 한국어 2A(베트남어)
-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 | 2019-06-15 | 978-89-7801-952-1(13710) | 국배판 | 270쪽
-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시작한 지 15년이 되었습니다. 이에 지난 15년간 축적된 교육 역량과 한국어 교육 전문가로 구성된 집필진의 연구 성과를 집약하여 기존 교재인 『함께 배워요 한국어 2』을 새롭게 개정하여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한국어를 배우는 초급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적으…
|
|
|
- 집일 금광명경소
- 원효 | 2019-05-30 | 978-89-7801-950-7(93220) | 신국판 | 630쪽
- 『금광명경소』는 신라 스님 원효가 동아시아에서 호국경전으로 큰 영향을 미쳤던 『금광명경』을 해석한 것이다. 본 경은 현재 담무참曇無讖의 『금광명경』, 보귀寶貴가 합본한 『합부금광명경』, 의정義淨의 『금광명최승왕경』의 세 가지 한역본이 전해지는데, 『금광명경소』는 이 중 『합부금광명경』에 대한 주석서로 모두 8권으로 이루어졌다. 현재 …
|
|
|
- 중국문학 속의 세계성 요소
- 천쓰허(陳思和) | 2019-05-10 | 978-89-7801-949-1(93820) | 신국판 | 558쪽
- 1980년대 이후 천쓰허(陳思和)는 중국문학과 외국문학의 관계 연구 영역에서 ‘중국문학의 세계성 요소’라는 키워드를 제시했다. 이 핵심 개념은 30여 년에 이르는 그의 학술 생애 동안 중국 현·당대문학 작가 연구와 문학사조 연구, 문학사 서술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연구와 비평 및 실천에 동시에 전개되고 발전해 왔다. 이 키워드는 천쓰허의 개인 학술 담론에서…
|
|
|
- 석보상절 권23
- 이병기.이기운 주해 | 2019-04-30 | 978-89-7801-948-4(94810) | 신국판 | 454쪽
- 『석보상절』 권23, 24가 세상에 알려진 것은 충북 보은의 법주사 조실 용허당龍虛堂 장호 대종사壯昊大宗師를 거쳐, 청주시 용화사 벽산당碧山堂 영주 종사永周宗師가 비장해 오던 것을 1966년 경기도 안성 칠장사 주지 혜련 의정慧連義淨 스님에게 전수되다가 동악어문학회 연구발표회에서 처음으로 소개되면서부터이다(이병주, 1967). 이로써 『석보상절』…
|
|
|
- 월파집/해붕집
- 월파 태율/해붕 전령 | 2019-04-05 | 978-89-7801-947-7(93220) | 신국판 | 557쪽
- 『월파집月波集』은 월파 태율月波兌律(1695∼?)의 시문집으로 1권 1책으로 되어 있다. 월파 자신이 직접 ‘월파집’이라 이름하고 서문을 구하였으며, 자신의 행적도 스스로 기록하였다. 문인門人 정인井印이 후세에 전할 뜻을 품고, 흩어져 없어진 것 가운데에서 간추려 엮어 간행하였다. 이 책은 거의 시詩로만 편집되어 있는데 오언, 칠언 절구와 율시 164편이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