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신간도서

신간도서

Total 185건 11 페이지
  • 금강삼매경론
  • 원효 | 2019-02-28 | 978-89-7801-946-0(93220) | 신국판 | 662쪽
  •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은 현전하는 원효의 저술 가운데 비교적 말년에 저술되었다. 본 논은 『금강삼매경』에 대한 주석서로서, 여기에 수록된 다양한 불교사상 및 그에 대한 원효의 견해는 당시 신라에서 진행되었던 불교 교학에 대한 연구의 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금강삼매경』은 「서품」의 서분, 7품의 정설분, 유통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
 
 
  • 한국고전문학과 불교
  • 김기종 | 2019-02-28 | 978-89-7801-945-3(94220) | 신국판 | 376쪽
  • 이 책은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인문한국(HK)연구단에서 어젠다의 학문적 심화와 사회적 확산을 위해 기획한 ‘글로컬 한국불교 총서’의 제8권에 해당한다. 한국고전문학과 불교의 관련 양상을 ‘글로컬리티의 한국성’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3부로 구성된 이 책의 제1부는 불교경전을 노래한 시가작품들의 특징적인 국면을 살펴본 것이고, 제2부는 ‘부처’·…
 
 
  • 석보상절 권24
  • 김유범.김진영 주해 | 2019-02-25 | 978-89-7801-944-6(94810) | 신국판 | 338쪽
  • 『석보상절釋譜詳節』은 석가모니불의 일대기인『석가보釋迦譜』에서 중요한 부분은 상세하게(詳) 쓰고, 중요하지 않은 부분은 줄여서(節) 쓴 책이라는 뜻으로『세종장헌대왕실록世宗莊憲大王實錄』28년(1446) 12월 2일에 “부사직 김수온에게 명하여 석가보를 증보수찬하게 하였다.”(命副司直金守溫增修釋迦譜)라고 하는 기록과 세조 5년(1459)에 쓴 어제御製『월인석보月…
 
 
  • 석문상의초 외
  • 벽암 각성, 나암 진일, 허백 명조, 계파 성능 | 2019-02-10 | 978-89-7801-943-9(93220) | 신국판 | 333쪽
  •  『석문상의초釋門喪儀抄』는 조선 중기의 고승 벽암 각성碧巖覺性(1575~1660) 이 당시까지 시대에 맞는 승가僧家의 상례喪禮가 정돈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아쉬워하고 이를 정립하기 위해 1636년(인조 14)에 편찬하고, 그 제자인 백곡 처능白谷處能(1617~1680)이 1657년(효종 8)에 징광사澄光寺에서 간행한 불교의식집이다.  상·하…
 
 
  • 경암집
  • 경암 응윤 | 2019-01-25 | 978-89-7801-942-2(93220) | 신국판 | 294쪽
  • 『경암집鏡巖集』은 조선 후기 18세기에 지리산 등지에서 활약한 경암 응윤鏡巖應允의 시문집으로 1804년(순조 4)에 경암의 제자 팔관八關이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추성리에 있는 벽송사에서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책판이 현재 벽송사에 남아 있고, 간행본이 동국대학교 도서관과 규장각에 전한다. 규격은 10행 21자로, 반곽半郭의 크기는 20.3×14.7cm이다…
 
 
  • 용담집/극암집
  • 용담 조관/ 극암 사성 | 2018-12-31 | 978-89-7801-941-5(93220) | 신국판 | 516쪽
  • 『용담집龍潭集』은 조선 후기 용담 조관龍潭慥冠(1700~1762) 사의 문집으로 제자인 혜암 윤장惠庵玧藏이 행장을 짓고 여러 곳에 흩어져 있던 시와 문들을 수집하였고, 최재경崔載卿이 이를 선사繕寫하여 지리산의 대암암臺巖庵에서 판각한 후 감로사甘露寺로 옮겨 와서 간행하였다. 문집은 모두 1책 49장이며, 용담의 시詩와 문장(文)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오언절…
 
 
  • 한국의 게송∙가송
  • 이종찬 편역 | 2018-12-05 | 978-89-7801-938-5(93220) | 신국판 | 453쪽
  •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대륙의 변방이다. 이런 지역적 한계로 인하여 모든 문화가 대륙의 중심에서 일어나는 파동波動의 여파로 수용될 수밖에 없었다.그런데 이 물결이라는 것이 묘해서 파동 중심의 물결무늬(汶樣)보다도 밀려온 물결이 먼 변방일수록 그 문양은 더 크다. 이것이 우리 문화를 간명하게 표현할 수 있는 수사修辭이니, 우리 문화가 대륙의 변방 문…
 
 
  • 사지자료집 5
  • 동국대학교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사업단 | 2018-11-30 | 978-89-7801-934-7(94220) | 4*6배판 | 447쪽
  •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에서는 국내외 사찰과 기관 및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한국불교기록유산에 대한 조사와 번역을 위해 2011년 여름부터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구축(ABC) 사업’을 추진하였고, 2012년부터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보조금을 지급받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11년 여름에 용흥사에 주석하고 있던 백운白雲 스님으로부터 응송應松 박영희朴暎熙(1…
 
 
  • 호신술의 완성
  • 반종진 | 2018-11-30 | 978-89-7801-937-8(03690) | 4*6배판 변형 | 218쪽
  • 누구나 생명은 존엄하며 마땅히 보호 받아야 한다. 인간이 보다 행복하고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는 것은 본능이며 보편적 가치이다. 어떠한 경우라도 개인의 권리와 생존(기본)권을 침해 받아서는 안 될 것이다. 호신술은 유사시에 신체를 위협하는 폭력 등 각종 위해危害 요소로부터 자기 몸을 보호할 수 있는 방어 수단이며 우리 생활의 안전 도구이다. 호신술은 남녀노소…
 
 
  • 청정 율사 경산 스님의 삶과 가르침
  • 박원자 | 2018-11-29 | 978-89-7801-936-1(03220) | 신국판 | 344쪽
  • 한평생 묵묵히 한국불교의 중흥과 종단의 화합을 위해서 헌신하였던 학월 경산 대종사의 삶과 가르침을 되새기다!  ‘청정 수좌의 표상’‘정화불사淨化佛事의 기수’‘무처무시선無處無時禪의 수행자’  이는 모두 학월 경산鶴月京山(1917~1979) 대종사의 삶을 수식하는 표현들이다. 또한 스님의 63년의 일생을 오늘날 후학들은 이렇게 회고하…
 
 
  • 운곡집/허백집
  • 운곡 충휘/허백 명조 | 2018-11-20 | 978-89-7801-935-4(93220) | 신국판 | 509쪽
  • 『운곡집』은 절絶·율律의 시詩로만 이루어진 시집이다. 이는 당시의 문인들이 즐겨 창작했던 시 형태로, 대사가 그들과 거리가 없는 작시 태도를 지녔음을 알 수 있다. 선禪이면서 시이고 시이면서 선인 대사의 작품은 물론, 교류하였던 문인들의 원시原詩 또는 차운시次韻詩를 수록하고 있어, 유불 간 교류의 면모를 여실히 알 수 있는 문학사적인 자료이다. 『…
 
 
  • 용암당유고/괄허집
  • 용암 체조, 괄허 취여 | 2018-10-30 | 978-89-7801-932-3(93220) | 신국판 | 399쪽
  • 『용암당유고龍巖堂遺稿』는 조선 시대 숙종 연간에 설악산 신흥사 내원암에 주석했던 용암 체조龍巖體照(1713~1779)의 유고 문집이다. 이 책은 그의 사후 제자들이 간행하였으며 1782년 충주忠州 백운산白雲山에서 간행된 목판본이 전해진다. 문집의 소장자는 이지관李智冠이며, 동국대학교출판부에서 펴낸 『한국불교전서』 제9책에 수록되어 있다. 문집에는 시 79편…
 
 
  • 사지자료집 4
  • 동국대학교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사업단 | 2018-10-30 | 978-89-7801-933-0 94220 | 4*6배판 | 650쪽
  •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에서는 국내외 사찰과 기관 및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한국불교기록유산의 전면적 조사와 발굴을 위해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구축(ABC)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사업의 첫 번째 대상지로는 전남 담양군의 용흥사龍興寺가 선정되었다. 특히 용흥사에는 해남 대흥사 주지를 역임했던 응송應松 박영희朴暎熙(1893~1990)가 보관해 …
 
 
  • 석보상절 권21
  • 황선엽.최기표 주해 | 2018-10-01 | 978-89-7801-931-6(94810) | 신국판 | 414쪽
  • 『석보상절釋譜詳節』은 세종의 명을 받아 수양대군이 중심이 되어 편찬한 석가모니 부처님의 전기傳記이다. 모두 24권이며 금속활자로 인쇄되었는데 1447년(세종 29)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글로 된 최초의 산문 자료이다.『석보상절』을 간행하게 된 계기는 세조(수양대군)가 1459년 7월 7일에 쓴 「어제월인석보서」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이에 따르면 …
 
 
  • 석보상절 권20
  • 김성주.오지연 주해 | 2018-10-01 | 978-89-7801-930-9(94810) | 신국판 | 399쪽
  • 『석보상절』은 수양대군(세조)이 세종의 명에 따라 어머니인 소헌왕후를 추천追薦하기 위하여 『석가보釋迦譜』와 『석가씨보釋迦氏譜』를 기본으로 『아미타경』, 『법화경』, 『약사경』 등 여러 대승경전에서 내용을 발췌·번역하여 편찬한 석가모니의 일대기이다. 전체 24권으로 초간본은 권6,9, 13, 19, 20, 21, 23, 24 등 여덟 권이 전해지고, 중간본은…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