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보상절 권9
- 이유기.정성준 주해 | 2018-1-30 | 978-89-7801-616-2(94810) | 신국판 | 288쪽
- 『석보상절』 은 수양대군이 부왕인 세종의 명을 받들어, 승하昇遐한 세종의 비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편찬한 책이다. 『월인석보』 에 실린 ‘석보상절 서’의 날짜가 정통正統 12년(세종 29년, 1447.) 7월 25일이므로 일반적으로는 이때를 간행 시기로 간주하고 있다. …
|
|
|
- 석보상절 권19
- 김지오.김진영 주해 | 2018-09-20 | 978-89-7801-929-3(94810) | 신국판 | 370쪽
- 『석보상절』 은 조선 세종 29년(1447)에 수양대군이 세종의 명을 받들어 어머니 소헌왕후 심沈씨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간행한 책이다. ‘釋譜詳節’이란 석가의 일대기 가운데 중요한 부분은 상세하게, 중요하지 않은 부분은 간략하게 기술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그런 만큼 이 책에는 석가족의 연출緣出에서부터 석가모니의 전세·현세의 성도成道, 그리고 석가모니 사…
|
|
|
- 석보상절 권11
- 김성주,박서연 주해 | 2018-08-30 | 978-89-7801-925-5(94810) | 신국판 | 335쪽
- 『석보상절』은 세종의 명에 따라 수양대군(세조)이 소헌 왕후를 추천追薦하기 위하여『석가보』를 기본으로 각종 불전에서 내용을 발췌·번역하여 편찬한 석가모니의 일대기이자 불교의 홍포와 전래 과정을 담은 책이다. 전체 24권 중에서 초간본 권6, 9, 13, 19, 20, 21, 23, 24 등과 중간본 권3, 11 등 모두 열 권이 전한다…
|
|
|
- 석보상절 권3
- 김성주.안양규 주해 | 2018-08-01 | 978-89-7801-713-8(94810) | 신국판 | 402쪽
- 『석보상절』은 세종의 명에 따라 수양대군(세조)이 소헌 왕후를 추천追薦하기 위하여『석가보』를 기본으로 각종 불전에서 내용을 발췌·번역하여 편찬한 석가모니의 일대기이자 불교의 홍포와 전래 과정을 담은 책이다. 전체 24권 중에서 초간본 권6, 9, 13, 19, 20, 21, 23, 24 등과 중간본 권3, 11 등 모두 열 권이 전한다.『석보상절』은 간경도…
|
|
|
- 일본현존조선본연구(사부)日本現存朝鮮本研究(史部)
- 후지모토 유키오(藤本幸夫) | 2018-07-30 | 978-89-7801-759-6(93010) | 국배판 | 1632쪽
- 본『일본 현존 조선본연구(日本現存朝鮮本研究) 사부(史部)』는 필자가 앞서 간행한『일본 현존 조선본연구(日本現存朝鮮本研究) 집부(集部)』의 후속편이다. 한국에서는 사라진 많은 한국의 선본(善本)들이 일본에 전해지고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필자는 한국학연구의 기반을 구축하려는 생각에서 50년 가까이 이에 대해 조사와 연구를 진행해 왔다.…
|
|
|
- 동계집
- 동계 경일 | 2018-07-30 | 978-89-7801-841-8(93220) | 신국판 | 374쪽
- 『동계집東溪集』은 효종孝宗·현종顯宗·숙종肅宗 연간에 활동한 경일敬一(1636~1695) 대사의 시문집이다. 네 권으로 이루어진 본서는 권1에 오언절구 21편, 육언절구 3편, 칠언절구 20편, 오언율시 43편, 칠언율시 57편 등의 시가 수록되어 있으며, 권2에는 서序 2편, 기記 12편, 권3에는 기記 5편, 비명碑銘 4편, 잡저雜著로 채워진 권4에는 6…
|
|
|
- 백암집
- 백암 성총 | 2018-07-10 | 978-89-7801-758-9 | 신국판 | 538쪽
- 백암집은 성총性聰(1631∼1700)의 문집으로 한국불교전서 제8책에 수록되어 있다. 성총의 호는 백암栢庵이며, 취미 수초翠微守初의 법을 이었다. 백암집은 2권 1책으로, 간행 연대와 장소가 분명치 않은 목판본이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고 국립중앙도서관에 필사본이 전한다. 권상에는 시, 권하에는 문이 실려 있는데, 시는 종류를 구분하지 않고 편집되었으며, 증여…
|
|
|
- 석보상절 권13
- 정우영.오지연 주해 | 2018-07-01 | 978-89-7801-714-5(94810) | 신국판 | 457쪽
- 『석보상절釋譜詳節』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일대기(釋譜) 및 그 가르침의 중요하고 핵심적인 것은 상세히 쓰고(詳), 그렇지 않은 부분은 간략히 줄여서 쓴(節) 한글(중세국어)로 편찬된 최초의 번역서이다. 특히, 유려한 문장을 자랑하는 이 책은 풍부한 어휘와 최초의 국문활자본 등으로 그동안 국어학 분야에서 끊임없는 관심과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
|
|
- 테마 한국불교6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 | 2018-06-30 | 978-89-7801-940-8(94220) | 신국판 | 391쪽
- 동국대학교 인문한국(HK)연구단은 한국불교가 갖는 로컬의 특성을 글로벌한 시각에서 조명하여 글로컬리티의 확장성을 구현하려는 방향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단은 ‘글로컬리티의 한국성: 불교학의 문화 확장 담론’을 아젠다로 하여, 2011년 9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총 10년 간 HK사업을 수행 중이며, 현재 3단계 1년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1…
|
|
|
- 함께 배워요 한국어 단기과정
-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 | 2018-06-30 | 978-89-7801-757-2 | 국배판 | 231쪽
- 『함께 배워요 한국어 –단기 과정』은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이 개발한 단기 과정용 교재입니다. 한국어를 처음 접하는 초급 학습자들이 쉽고 빠르게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교재를 구성하였습니다.
수업 시간에 배운 한국어를 바로 교실 밖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대화를 구성하여 학습자들이 익숙해질 수 있도록 말하기 연습에 주안점을 두었습니다.
이 교재…
|
|
|
- 둔황의 채색 조형
- 류융정劉永增 지음, 판진스樊錦詩편집, 임광순任光淳·김태경金太京 옮김 | 2018-06-26 | 978-89-7801-825-8(03600) | 175*250 | 236쪽
- 4세기에서 14세기까지 1천 년간 이어진, 중국 불교미술을 대표하는 둔황敦煌 석굴 채색소상彩色塑像의 오묘한 비밀을 이 책에서 밝힌다. 중국 불교미술은 셀 수 없을 만큼의 유적遺跡과 유물遺物을 남겼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많은 사찰들은 전쟁이나 천재天災 혹은 인재人災에 의하여 완전히 사라졌고, 사찰 건축예술도 함께 소실되어 거…
|
|
|
- 함홍당집
- 함홍 치능 | 2018-04-30 | 978-89-7801-626-1 (93220) | 신국판 | 342쪽
- 『함홍당집涵弘堂集』은 고운사孤雲寺에 주석하셨던 함홍당涵弘堂 치능致能 대사(1805~1878)의 문집이다. 이 책은 스님이 입적한 지 1년 뒤인 1879년에 제자 야산 명원野山明遠 등이 유고를 수습하여 2권 1책의 목판으로 간행한 것이다. 상권에는 214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고, 하권에는 29편의문이 수록되어 있으며, 말미에 행장行狀과 비명碑銘이 첨부되어 …
|
|
|
- 함께 배워요 한국어 4B
-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 | 2018-03-05 | 978-89-7801-625-4 | 국배판 | 244쪽
-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에서는 2002년부터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시작하였습니다. 그 후 지금까지 축적된 교육 역량과 연구 성과를 집약하여 『함께 배워요 한국어 4B』를 출판하게 되었습니다.이 책은 한국어를 배우는 중급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말하기·듣기·읽기·쓰기의 네 가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
|
|
- 함께 배워요 한국어 3B
-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 | 2018-03-05 | 978-89-7801-624-7 | 국배판 | 230쪽
-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에서는 2002년부터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시작하였습니다. 그 후 지금까지 축적된 교육 역량과 연구 성과를 집약하여 『함께 배워요 한국어 3B』를 출판하게 되었습니다.이 책은 한국어를 배우는 중급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말하기·듣기·읽기·쓰기의 네 가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
|
|
- 함께 배워요 한국어 4A
-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 | 2018-02-28 | 978-89-7801-623-0 | 국배판 | 251쪽
- 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에서는 2002년부터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시작하였습니다. 그 후 지금까지 축적된 교육 역량과 연구 성과를 집약하여 『함께 배워요 한국어 4A』를 출판하게 되었습니다.이 책은 한국어를 배우는 중급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말하기·듣기·읽기·쓰기의 네 가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