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붓다
- 윤재웅 박기련 | 2024-09-24 | 979-11-91670-64-6 | 무선제본 | 774쪽
- 현대적 언어로 생생하게 만나는 부처님 생애 위대한 성인의 삶은 그 자체로 후대의 귀감이 된다. 대표적으로 붓다의 삶이 그렇다. 고타마 싯다르타라는 이름의 한 인간으로 태어나 살며 고뇌하고 출가해,정진하고 완전한 깨달음을 얻어 전법의 길에 올라 열반하기까지 모든 순간이 그 자체로 시대를 뛰어넘는 가르침을 전한다. 그러한 붓다의 생애를 마치 옆…
|
|
|
- 백 가지 인연 이야기-찬집백연경
- 옮긴이: 동국역경원 역경위원회 원문교감 및 윤문: 성재헌 | 2024-09-02 | 978-89-5590-993-7 | 무선제본 | 439쪽
|
|
|
- 김정은시대 북한사회 100문 100답
- 김상범 김용현 김일한 김종수 박민주 박형준 박희진 하승희 한승대 한재헌 허정필 | 2024-08-29 | 978-89-7801-816-6 | 무선제본 | 478쪽
-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딸 김주애가 공식 석상에 등장하면서 “과연 김주애가 김정은의 후계자일까?” 설왕설래가 많았다. 하지만 누구도 맞다, 틀리다 정확히 말해주는 사람은 없었다. 뿐만 아니라 가까우면서도 먼, 가볼 수 없는 미지의 그곳에 대해 우리는 아는 것보다 모르거나 잘 못 알고 있는 것이 훨씬 많다.이런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북한학 박사들이 나섰다.&…
|
|
|
- 디지털 변환 속 마케팅 원리
- 최영균 | 2024-08-28 | 978-89-7801-817-3 | 무선제본 | 313쪽
- 이 책은 디지털 매체를 중심으로 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효과에 대해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이론적 탐구를 통해 소비자들이 디지털 환경에서 제품 메시지를 어떻게 인지하고 반응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기획되었다.내용은 뉴미디어와 마케팅 패러다임, 상호작용성, 몰입형 기술, 소셜미디어와 전자구전(eWOM), 인플루언서 마케팅, 모바일 및 온라인 게임 …
|
|
|
- 열반경1
- 이운허 | 2024-08-09 | 978-89-5590-994-4 | 양장본 | 696쪽
- 『열반경』은 쿠시나가라 아지타바티 강가에 서 있는 사라쌍수 사이에서 15일, 입멸에 드시기 직전 부처님께서 설하신 법이다. 그러므로 『열반경』은 2월 열 부처님 최후의 유교(遺敎)라고도 할 수 있다. 때문에 이 경은 부처님 입멸 당시의 슬픈 정경이 장엄한 필치로 묘사되어 있다.그러나 『열반경』은 그 소재를 아함(阿含) 중 『유교경(遺敎經)』 등에 전하는 부…
|
|
|
- 내려놓으면 인생이 유쾌해진다
- 월암문도회 | 2023-12-07 | 979-11-973434-9-0 | 148*220 | 276쪽
- 정대 대종사는 불교중홍의 토대를 닦은 선구자입니다. 대종사께서는 '정대正大'라는 그 이름 그대로 살다 가신분입니다. 언제 어디서나 바르고 크신 어른이었습니다. 물론 그것은 홀로 드높은 산봉우리가 아니라 거대하고 넉넉한 강줄기와 같은 정대였습니다. 시비가 아닌 포용으로, 독선이 아닌 겸양으로 일관한 삶입니다. 항상 낮은 곳에 임하고, 대중을 받들며 만들어낸 …
|
|
|
- 불교성전
- 불교성전편찬회 | 2021.2.18 | 978-89-5590-468-0 | 125*187 | 814쪽
- “법정스님이 엄선한 팔만대장경의 진수”“동국역경원 〈불교성전〉 50년 만에 새 옷 입다” 50년 만에 읽기 쉬운 한글문장으로 다듬어법정스님 숨결 오롯이 느끼며 한 권으로 읽는 부처님 말씀 불교인들에게는 신앙과 수행의 길라잡이로, 일반인들에게는 이해하기 쉬운 불교 입문서가 되어 온 동국역경원 〈불교성전〉이 재개정판으로 출간됐다…
|
|
|
- 해심밀경소 제6 분별유가품 하
- 원측 | 2021-11-20 | 978-89-7801-009-2 [93220] | 153*225 | 340쪽
- 「해심밀경」 「분별유가품」은 '유가의 완전한 의미(瑜伽了義)'를 자세히 설명한 품이다. '유가 瑜伽(yoga)'란, 넓은 의미에서는 삼승이 알아야 할 모든 경계(境)와 닦아야 할 모든 관행(行), 그리고 그러한 앎과 수행으로 획득되는 모든 결과(果) 등을 통칭한다. 그런데 좁은 의미 에서는 지관止觀 수행을 가리키므로, 이 품에서는 유가…
|
|
|
- 해심밀경소 제6 분별유가품 상
- 원측 | 2021-11-20 | 978-89-7801-006-1 [93220] | 153*225 | 480쪽
- 「해심밀경」 「분별유가품」은 '유가의 완전한 의미(瑜伽了義)'를 자세히 설명한 품이다. '유가 瑜伽(yoga)'란, 넓은 의미에서는 삼승이 알아야 할 모든 경계(境)와 닦아야 할 모든 관행(行), 그리고 그러한 앎과 수행으로 획득되는 모든 결과(果) 등을 통칭한다. 그런데 좁은 의미 에서는 지관止觀 수행을 가리키므로, 이 품에서는 유가…
|
|
|
- 보살계본소
- 의적 | 2021-09-10 | 978-89-7801-002-3 [93220] | 153*225 | 536쪽
- 『보살계본소』는 신라 시대 의적이 찬술한, 대승보살계를 설한 『범망경』에 대한 주석서이다. 기록에 따르면 의적은 계율 관련 저술로 이 책 이외에도 『범망경문기梵網經文記』·『본업영락경소本業珞經疏』 등을 지었지만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서는 의적의 계율관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대승보살계에는 크게 유가사지론,「보살지에서 설한 …
|
|
|
- 선문염송 염송설화 회본2
- 혜심.각운 | 2021-08-20 | 978-89-7801-004-7 [93220] | 153*225 | 672쪽
- 진각국사 혜심이 고칙古則 공안과 그에 대해 조사들이 다양한 형식으로 풀어낸 비평적 평설들을 선별하고 짜임새 있게 구성한 책이 『선문염송』이다. 공안은 공개된 비판의 자이다. 누구나 비판의 말을 붙일 수 있도록 열려 있는 이 자리에 상하의 계급이라곤 있을 수 없다. 앞서 던진 말은 그 누구라도 뒤집어엎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말을…
|
|
|
- 치문경훈주 하권
- 백암 성총 | 2021-04-30 | 979-11-91670-02-8 [93220] | 153*225 | 324쪽
- 『치문경훈주緇門警訓註』는 조선 중기의 승려 백암 성총栢庵性聰이 『치문경훈緇門警訓』에 상세한 주해를 달아 상·중·하 3권으로 간행한 책이다. 『치문경훈緇門警訓』은 먹물 옷을 입은 이가 불문佛門에 들어와 경계 삼고 교훈 삼을 만한 가르침을 모아 놓은 글로서, 중국 북송 때 택현 온제擇賢蘊濟 선사가 『치림보훈緇林寶訓』을 펴낸 것을 기원으로,…
|
|
|
- 치문경훈주 중권
- 백암 성총 | 2021-04-30 | 979-11-91670-01-1 [93220] | 153*225 | 304쪽
- 『치문경훈주緇門警訓註』는 조선 중기의 승려 백암 성총栢庵性聰이 『치문경훈緇門警訓』에 상세한 주해를 달아 상·중·하 3권으로 간행한 책이다. 『치문경훈緇門警訓』은 먹물 옷을 입은 이가 불문佛門에 들어와 경계 삼고 교훈 삼을 만한 가르침을 모아 놓은 글로서, 중국 북송 때 택현 온제擇賢蘊濟 선사가 『치림보훈緇林寶訓』을 펴낸 것을 기원으로,…
|
|
|
- 치문경훈주 상권
- 백암 성총 | 2021-04-30 | 979-11-91670-00-4 [93220] | 153*225 | 348쪽
- 『치문경훈주緇門警訓註』는 조선 중기의 승려 백암 성총栢庵性聰이 『치문경훈緇門警訓』에 상세한 주해를 달아 상·중·하 3권으로 간행한 책이다. 『치문경훈緇門警訓』은 먹물 옷을 입은 이가 불문佛門에 들어와 경계 삼고 교훈 삼을 만한 가르침을 모아 놓은 글로서, 중국 북송 때 택현 온제擇賢蘊濟 선사가 『치림보훈緇林寶訓』을 펴…
|
|
|
- 소요당집, 취미대사시집
- 소요 태능 / 취미 수초 | 2021-04-30 | 979-11-973433-7-7 [93220] | 153*225 | 500쪽
- 『소요당집』은 조선 중기 고승인 소요 태능逍遙太能의 시 200여 수와 한 편의 문文을 모은 문집이다. 소요당의 시는 맑고 담박한 시어들로 선의 이치와 깨달음의 경계를 술회하고 있다. 도道의 내용을 담은 작품들은 선사들의 염송拈頌과 매우 유사한 성격을 띠고 있으며, 서정적인 작품들 역시 가슴속의 생각을 곧장 토로하며 평상적으로 표현하였을 뿐 법어法語로 윤색하…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