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신간도서

신간도서

Total 185건 9 페이지
  • 선원소류,선문재정록
  • 설두 유형 · 진하 축원 | 2021-04-30 | 979-11-973433-8-4 [93220] | 153*225 | 284쪽
  • 『선원소류』는 시종일관 백파 긍선의 삼종선三種禪 논리가 타당함을 입증하기 위한 의도에서 지어진 책이다. 먼저 백파가 제시했던 주요 개념들을 조목조목 재정리하며 다지고, 다음으로는 백파의 삼종선 논리가 타당한 이유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설두 자신의 논리로 증명한 후에, 그가 궁극의 표적으로 삼았던 초의 의순의 『사변만어四辯漫語』와 우담 홍기의 『소쇄선정록掃灑…
 
 
  • 석마하연론의 사상적 지평
  • 김지연 | 2021-04-30 | 979-11-973433-3-9 [93220] | 152*225 | 280쪽
  •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은 사실 한국불교에서는 아직 낯선 문헌이다. 그래서 누군가가 필자에게 어떤 공부를 하느냐고 물으면 언제나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주적서’라는 말을 붙여 답한다. 중국에서도 상황은 다르지 않지만, 일본에서는 진언종의 종조인 구카이空海가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을 중시하면서 지속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았다. 또한 일본…
 
 
  • 다송문고
  • 금명 보정 | 2021-04-20 | 978-89-7801-000-9 [93220] | 153*225 | 876쪽
  •   이 책은 송광사를 중심으로 도림사와 태안사 등 주변 사찰들에 관한 풍부한 기록을 담은 문집이다. 학계學契와 문계問契 등 계보에 주안점을 두었고, 이 밖에 다양한 주제의 글이 있어 근대 불교사와 사상을 파악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예를 들어 「합천군가야산해인사대장경어인출불사경찬소陜川郡伽耶山海印寺大藏經御印出佛事慶讚疏」는 1899년 5월…
 
 
  • 정토감주
  • 허주 덕진 | 2021-04-15 | 978-89-7801-999-6 [93220] | 153*225 | 376쪽
  •   『정토감주淨土紺珠』는 조선 후기에 활동했던 선사禪師 허주 덕진虛舟德眞(1815~1888)이 정토淨土와 관련된 내용을 일심一心, 이수二修 등과 같은 법수法數의 체제로 정리한 문헌이다. 제명에 나온 ‘감주紺珠’는 당唐의 장열張說(667~731)의 고사에서 따온 것이다. 장열은 평소 사소한 일까지 모두 알았지만 기억력이 없어서 괴로워하였는데…
 
 
  • 월봉집
  • 월봉 책헌 | 2021-03-30 | 978-89-7801-998-9 [93220] | 153*225 | 232쪽
  •     『월봉집月峯集』에서는 선禪과 교敎에 대한 견해 차이가 존재했던 17세기 불교계의 사상적 경향과, 경절문 · 원돈문 · 염불문의 삼문을 중심으로 수행체계가 보편적으로 형성되던 흐름을 보여 주는 글들이 주목된다. 한편 심心을 의인화한 심공心空을 등장시켜 마음을 설명함으로써 문학적인 경향을 보여 주기도 하는데 이는 불교계의…
 
 
  • 현정론, 유석질의론
  • 득통 기화 . 미상 | 2021-03-25 | 978-89-7801-997-2 [93220] | 153*225 | 288쪽
  •   『현정론』의 ‘현정顯正’은 ‘파사현정破邪顯正’에서 따온 말이다. 이 책은 당시의 유교 지식인들이 지니고 있던 불교에 대한 ‘잘못된 견해’를 없애고, ‘올바른 이해’를 드러내 보여 주려는 의도로 저술되었다. 이 책의 구성은 서문과 질의·응답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문에서는 불교의 요체, 불교가 존재하는 이유, 불교와 유교의 관계 등…
 
 
  • 해심밀경소 제5 무자성상품
  • 원측 | 2021-03-20 | 978-89-7801-996-5 [93220] | 153*225 | 536쪽
  •     『해심밀경소 제5 무자성상품』에서는 ‘일체법은 無自性이다.’라는 문구의 의미를 세 종류 무자성에 의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 삼무성설三無性設은 일반적으로 대승불교의 공空 사상에 대한 유가행파의 새로운 해석으로 받아들여지는데, 원측을 비롯한 중국 법상학자들은 이 학설에 대해 ‘유와 무를 총괄해서 공이라 설하였기 때문…
 
 
  • 대동영선
  • 금명 보정 | 2020-12-10 | 978-89-7801-992-7(93220) | 신국판 | 549쪽
  • 『대동영선大東詠選』은 송광사에 주석하던 금명 보정錦溟寶鼎이 우리나라 역대의 뛰어난 시 들을 선집選集한 책이다. 다만 내용 가운데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중국의 시와 게송도 많이 포함되어 있고, 우리나라 작품 가운데서도 불교와 무관하거나 불교를 비판한 시 역시 포함되어 있다. 시대적으로 보면 신라 시대 최치원으로부터 구한말 『조선불교통사』를 쓴 이능화(1869~…
 
 
  • 청주집
  • 환공 치조 | 2020-11-30 | 978-89-7801-991-0(93220) | 신국판 | 411쪽
  • 『청주집淸珠集』은 사문 환공 치조幻空治兆가 지자智者의 『정토십의론淨土十疑論』과 비석飛錫의 『염불삼매보왕론念佛三昧寶王論』 등 37종의 정토 관련 전적에서 염불수행인에게 도움이 될 중요한 구절 120칙則을 가려 뽑아 엮은 책이다. 치조는 고종 7년(1870)에 여산 혜원廬山慧遠의 백련사白蓮社를 모범으로 삼아 정원사淨願社라는 만일염불회萬日念佛會를 결성하고, …
 
 
  • 혼원집/초엄유고
  • 혼원 세환/초엄 복초 | 2020-11-10 | 978-89-7801-990-3(93220) | 신국판 | 326쪽
  • 『혼원집』의 저자 혼원은 36년이라는 짧은 생을 살았지만, 수행자로서 이룬 성과와 문적 성취, 그리고 강백으로 펼친 강설의 깊이가 남달랐다는 서문의 기록이 있으나, 남긴 글은 많지 않다. 「금강록金剛錄」은 금강산 유람을 통해 관람하고 청취한 내용을 기록하는 한편, 여정에서 느낀 감상을 다수의 시로 읊어낸 수작秀作이다. 문학적 재능을 지닌 저자의 요절이 못내…
 
 
  • 풍계집
  • 풍계 명찰 | 2020-10-30 | 978-89-7801-989-7(93220) | 신국판 | 432쪽
  • 『풍계집楓溪集』은 조선 중기 시문詩文에 뛰어났던 대종사大宗師인 풍계 명찰楓溪明察(1640∼1708)이 저술한 시문집詩文集이다. 3권 1책으로 되어 있으며, 문인 문일聞佾이 수집하고 편집하여 1711년에 간행하였다. 상권에는 주로 수차류酬次類의 시詩들이 수록되어 있고, 중권에는 유완총록遊翫摠錄이란 표제 아래 그가 전국을 편력하며 읊은 작품과 이에 대한 서문 …
 
 
  • 복원본 무량수경술의기
  • 의적 | 2020-10-20 | 978-89-7801-988-0(93220) | 신국판 | 496쪽
  • 『무량수경술의기』는 신라 스님 의적이 7세기경 찬술한 주석서이다. 본서는 신라의 정토관계 주석서 중에서 특히 독자적 해석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무량수경』의 48원과『정토론』에서 정토와 관련된 29가지 공덕을 각각 원인과 결과로 파악하여 상호 배대한 것, 『미륵문경』에서 범부의 생각이 아니라고 한 10념을, 범부가 일상적으로 행하는 것이 어렵다는 말…
 
 
  • 연담대사임하록
  • 연담 유일 | 2020-09-25 | 978-89-7801-987-3 (93220) | 신국판 | 772쪽
  • 『연담대사임하록蓮潭大師林下錄』(이하 『임하록林下錄』으로 약칭한다.)은 조선 후기 승려인 연담 유일蓮潭有一(1720~1799)의 시문집이다. 연담 대사는 조선 후기 불교계의 승려 가운데 최고의 문장가이며 이론가로 꼽히는 인물이다. 연담 대사의 「임하록 자서自序」에 의하면 경전을 연구하는 여가에 사대부 및 승려들과 주고받은 시, 불사佛事를 찬양하거나 세상의 진…
 
 
  • 테마 한국불교 8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 | 2020-08-20 | 978-89-7801-986-6 (94220) | 신국판 | 411쪽
  • 『테마 한국불교 8』 은 로컬과 글로벌이 융합된 한국불교의 글로컬한 특성을 ‘변용의 확장성’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는 3단계 아젠다 연구의 두 번째 결실이다. 본 『테마 한국불교』 8에서는 <인물과 문헌> 영역에서 사상가 대현과 승랑, 『법화경』과 대장경의 텍스트, <종교와 문화> 영역에서는 종교와 미래 유형으로 수행과 템플스테이, 문화…
 
 
  • 중변분별론소 제3권 외
  • 원효 | 2019-10-10 | 978-89-7801-967-5(93220) | 신국판 | 282쪽
  • 『중변분별론소』는 진제 역『중변분별론』에 대한 원효의 주석서이다. 중中과 변邊을 구별하는 논이란 뜻의『중변분별론』은 미륵의 송頌에 대해 세친이 주석한 논서로 ①「상품相品」, ②「장품障品」, ③「진실품眞實品」, ④「대치수습품對治修習品」, ⑤ 「수주품修住品」, ⑥「득과품得果品」, ⑦「무상승품無上乘品」으로 이루어져 있다. 원효의『중변분별론소』제3권에서는 이 중 …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