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계사
본문
한자1
[神溪寺]
한자2
ⓢ
ⓟ
ⓣ
뜻(설명)
일명 신계사(新溪寺·新戒寺). 강원도 고성군 외금강면 온정리에 있는 사찰이다. 31본산 중의 하나인 유점사(楡岾寺)의 말사였다. 519년(법흥왕 6)에 보운조사(普雲祖師)가 창건하였다. 예로부터 이 절 옆에 있던 신계천에서는 고기가 많이 잡혔는데, 살생으로 성역(聖域)의 참된 뜻을 더럽힌다고 하여 보운조사가 용왕(龍王)에게 부탁해서 고기를 다른 곳에서 놀도록 하였으므로 그 신이함을 나타내기 위하여 신(神)이라는 한자를 쓰게 되었다고 한다. 창건 이후 653년(선덕여왕 7)에는 김유신(金庾信)에 대한 왕실의 기원을 기념하기 위하여 중수하였고, 682년(신문왕 2)에는 김유신의 부인이 중건하였다. 786년(원성왕 2)에 태능(泰能)이 중건하였고, 886년(정강왕 1)에 한림왕(翰林王)이 중수하였다. 918년(경명왕 2)에 법인국사(法印國師)가 중수하였고, 1130년(인종 8)에 묘청(妙淸)이 중건하였으며, 1332년(충숙왕 복위 1)에 우심(尤深)이 중수하였다. 조선시대에는 1452년(문종 2)에 해파(海波)가 중건하였고, 1485년(성종 16)에 지료(智了)가 중수하였으며, 1531년(중종 26)에 유환(宥還)이 시주를 얻어 중건하였다. 1597년(선조 30)에 강원감사 황융중(黃隆中)이 임진왜란으로 모두 불타버린 절을 중건하였고, 1669년(현종 10)에는 석철(石喆)이, 1711년(숙종 37)에는 청휘대사(淸暉大師)가 각각 중건하였다. 그 뒤 1782년(정조 6)에 재우(載雨)와 관성(寬性)이 향로전(香爐殿)을 중수하였다. 또한 1821년(순조 21)에는 유신(宥信)이 향로전을 다시 중수하였고, 1835년(헌종 1)에는 조정(朝廷)으로부터 모연금(募緣金)을 받아 절 전체를 중수하였다. 1869년(고종 6)에 동하성의(東河性宜)가 영산전(靈山殿)과 첨성각(瞻星閣)을 건립하였고, 1874년(고종 11)에 취암(翠巖)과 의성(義惺)이 적묵당(寂默堂)을 중건하였으며, 1880년에 의성과 지담(止潭)이 유리전(瑠璃殿)을 중수하였다. 1887년에는 대웅전을 중창하고 영산전을 옮겨 지었다. 1893년 칠성각을 중수하고, 1914년 대향각(大香閣)을 중건하였으며, 1919년에는 김우화(金雨化)가 최승전(最勝殿)을 건립하였다. 1922년 12월에 용화전(龍華殿)이 화재로 모두 불타버렸고, 1929년에 만세루(萬歲樓)를 중건하였다. 그러나 그 뒤 화재로 소실되어 1945년경에 반야보전(般若寶殿)·나한전·칠성각 등의 전각만이 남아 있었고, 반야보전 앞에 석탑 1기가 남아 있었다. 1950년 6·25전쟁으로 폐사되었던 것을 2000년 조계종과 현대아산·조선불교도연맹 공동으로 신계사 복원을 논의하였다. 2004년 착공하여 대웅전을 비롯해 14채의 전각을 복원. 2007년 10월에 복원 불사를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