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신륵사

본문

한자1
[神勒寺]
한자2
뜻(설명)
1)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봉미산에 있는 사찰. 신라 때 창건한 것으로 추측된다. 1376년(우왕 2) 나옹왕사(懶翁王師)가 여기서 입적하였다. 1379년(우왕 5) 각신(覺信)·각주(覺珠) 등이 절을 대창(大創)하고, 나옹의 부도(浮屠)를 세웠다. 1382년(우왕 9) 이색이 대장각을 짓고 대장경을 봉안하였고, 1440년(세종 22) 중수하였다. 1473년(성종 4) 나라에서 확장하여 영릉원찰(英陵願刹)을 삼고 보은사(報恩寺)라고 개칭했는데 당시 건물이 2백여 칸이었다. 1671년(현종 12) 계헌(戒軒)이 중수하였고, 1702년(숙종 28) 위학(偉學)·천심(天心) 등이 중수했으며, 1858년(철종 9) 김병기(金炳驥)를 시켜 중수하였다. 1929년 주지 성인(性仁)이 명부전을 중건하였다. 국보는 다층 석탑, 다층 전탑, 보제존자석종, 보제존자석종비, 대장각기비, 보제존자석등, 조사당 등이 있다. 2)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월악리 월악산에 있는 사찰. 582년(진평왕 4)에 아도가 창건하였다. 신륵사삼층석탑(보물)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