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신불교

본문

한자1
[新佛敎]
한자2
뜻(설명)
《불교(佛敎)》의 속간으로 1937년 3월 1일 제1호 발행. 《신불교》는 1924~1933년에 간행된 《불교》의 속간지로 일반적으로 《신불교》로 지칭되어 왔으나, 정식 잡지명은 《불교》이다. 1933년 7월 이후 휴간되어 4년 동안 속간되지 않던 《불교》가 1937년 3월 1일 속간된 것이다. 《불교》의 휴간은 불교계의 정식 보도기관이 부재한 상태를 만들었다. 물론 1935년 중반 《불교시보(佛敎時報)》가 나왔으나, 교계의 기관지로서의 보도 매체는 없었다. 이러한 불교계의 모순을 극복하고 불교지가 속간된 것은 재단법인 중앙 교무원에 의해서가 아니라 ‘경남이본산종무협회(慶南二本山宗務協會)’에 의해서다. 통도사·해인사·범어사는 본산 운영 및 불교계 진로에 대한 제반 문제를 공동 해결한다는 취지 아래 경남삼본산협회라는 상설기관을 두어 운영하였다. 이 협회는 3본산 공동의 사업(총무, 의식, 포교, 교육 등)과 경남 지방 불교계의 협조를 기하는 동시에 나아가 전 불교계 진로에 대한 문제를 진지하게 대처해 왔다. ‘역경원’ 사업은 이러한 움직임의 결실을 예증하는 것이다. 이런 배경에서 속간한 《신불교》는 1937년 3월 1일 제1집을 내고 1944년 12월 1일까지 67집을 간행하였다. 경남삼본산협회에서 경영의 책임을 맡았고, 간행소는 불교사였다. 한용운(韓龍雲)이 불교사 고문을 맡고, 허영호(許永鎬)·김삼도(金三道)·임원길(林原吉) 등이 편집 및 발행을 담당하였다. 편집의 원칙은 이전 《불교》와 거의 같았다. 그러나 《신불교》도 19집을 내고 1939년 일시 휴간한 후 1940년 1월에 속간되었는데, 1941년 10월호인 31집부터는 조선불교조계종 총본사 태고사의 기관지로 전환되었다. 이는 불교계 통일운동의 산물로 등장한 조선불교조계종 총본사 태고사가 불교계의 대표기관이 되면서 당시 일제 당국도 불교계를 효율적으로 통치하려는 배경에서 나온 것이다. 이 결정은 1941년 6월 6일의 임시 중앙종회에서 결의되었다. 따라서 이후의 편집에는 ‘조선불교조계종종보(朝鮮佛敎曹溪宗宗報)’가 총본산 태고사 종무원의 이름으로 매집마다 첨부되었고 종무일지도 함께 게재되었다. 내용은 불교 논설·시·수필·불교 고전 해설 등으로 채워졌고, 뒤에는 시평(時評)에도 비중을 두었다. 이 잡지는 한용운이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일제강점기의 불교 잡지 가운데 가장 알찬 내용으로 평가된다. 그 이전까지는 주로 불교를 소개하고 불교를 대외적으로 선전하는 일 등에 주력하며 총독부의 간접 지시를 따르는 수동적 자세였다면, 《신불교》는 한국불교의 자각을 호소하는 반체제적 성격을 띠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