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삼론
본문
한자1
[新三論]
한자2
ⓢ
ⓟ
ⓣ
뜻(설명)
후진(後秦)시대 등장한 삼론학(三論學)의 흐름. 요진(姚秦)시대 구마라집이 『중론(中論)』· 『백론(百論)』·『십이문론(十二門論)』을 한역하고 반야공관의 철학적 교리를 승조(僧肇)·승예(僧叡)·도랑(道朗) 등에게 전하여 관중과 하서 지방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던 삼론학을 구삼론(舊三論)이라고 부른다. 이에 반해 5세기 요동 지방에서 고구려 승랑이 중국 강남 지역으로 남하하여 양대(梁代)의 지관사(止觀寺) 승전(勝詮)과 흥황사(興皇寺) 법랑(法郞)에게 전승하여 가상대사(嘉祥大師) 길장(吉藏)이 완성시킨 삼론학을 신삼론(新三論)이라고 한다. 당나라 지바가라가 현수와 신라의 원효에게 전한 것이 신삼론에 해당한다. 또는 구마라집에서 길장에 이르는 삼론학의 흐름을 구삼론(舊三論)이라고 하고, 화엄종 현수법장의 삼론학 연구를 신삼론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