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경
본문
한자1
[新歲經]
한자2
ⓢ
Pravāraṇa-sūtra
ⓟ
ⓣ
뜻(설명)
1권. K872, T62. 고려대장경에는 경전명 앞에 ‘불설(佛說)’이 추가로 명기되어 있다. 동진(東晋)시대에 축담무란(竺曇無蘭)이 한역하였다. 출가 수행자로서 한 살을 더 먹는 날을 안거가 끝나는 날로 잡고, 이날 대중들이 함께 모여 몸과 입과 뜻의 세 가지 업을 참회하고 계를 청청하게 지키는 법에 대하여 설한 경전이다. 다른 이역본들과 내용상 큰 차이는 없다. 이역본으로는 『별역잡아함경』 제12권 제15경 『수신세경(受新歲經)』, 『불설해하경(佛說解夏經)』, 『잡아함경』 제45권 제15경, 『중아함경』 제121 『청청경(請請經)』, 『증일아함경』 제32 「선취품(善聚品)」 제5경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