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보권문
본문
한자1
[新編普勸文]
한자2
ⓢ
ⓟ
ⓣ
뜻(설명)
1권 1책. 조선시대 호은유기(好隱有璣, 1707~ 1785)가 염불을 권장하는 글을 모아 새롭게 편찬한 책. 목판본으로 1776년 유기가 해인사에 주석할 때, 영은사(靈隱寺)의 각성(覺醒)이 찾아와 돌아가신 어머니를 위해 염불 책을 펴내고 싶다는 부탁을 하였다. 이에 유기는 중국의 정토 신앙서인 『연종보감(蓮宗寶鑑)』·『귀원직지(歸元直指)』·『정토록(淨土錄)』 등에서 22단의 글을 가려 뽑아 염불을 권장하는 책을 새로 펴내고 제목을 ‘신편보권문’이라 하였다. 구성은 저자 서문, 본문 22편, 부록, 저자 발문의 순서로 되어 있다. 서문에는 이 책을 제작하게 된 동기가 소개되어 있다. 본문 22편은 모두 염불을 권장하는 내용의 글로서 경·논설·게송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록으로 가사(歌辭) 작품인 「강월존자서왕가(江月尊者西往歌)」·「청허존자회심가(淸虛尊者回心歌)」가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1704년에 간행된 『보권염불문(普勸念佛文)』의 전통을 잇는 염불 권장서로 정토신앙이 활발하게 퍼진 18세기의 분위기를 잘 보여주고 있다. 경남 합천 가야산 해인사에서 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