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 선운사동불암지마애여래좌상
본문
한자1
[高敞禪雲寺東佛庵址磨崖如來坐像]
한자2
ⓢ
ⓟ
ⓣ
뜻(설명)
보물. 전체 높이 약 13m, 너비 약 3m.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마애불이다. 백제 위덕왕 때 검단선사(黔丹禪師)로 하여 암벽에 불상을 조각하게 하고 암벽 꼭대기에는 동불암(東佛庵)을 짓게 했다는 설화가 전해진다. 고창 선운사동불암지마애여래좌상은 선운사 도솔암 서편 암벽 칠송대(七松臺)에 부조(浮彫)로 새겨진 장대한 크기의 마애여래 좌상으로 결가부좌한 자세로 연화대좌에 앉아 있다. 머리에는 뾰족한 육계(肉髻)가 있고 이마에는 백호(白毫)가 표현되어 있다. 다소 네모진 얼굴에 눈꼬리가 치켜 올라간 눈과 일자로 내려온 코, 도드라지는 입술 등 전체적으로 은근한 미소를 비친다. 목에는 삼도(三道)를 나타내는 세 줄의 선이 보이고 양어깨를 감싸고 있는 통견(通肩)의 법의를 착용하고 있다. 상체에서는 사각의 평면감이 느껴지며, 무릎 위에 올려놓은 두 손은 체구에 비해 유난히 크게 묘사되어 있다. 이는 고려 특유의 마애불 양식으로 월출산 마애여래좌상과 유사한 모습이다. 대좌는 비교적 높은 2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대에는 옷자락이 늘어져 덮인 상현좌(裳縣座)를 표현하고 있으며, 하대는 아래를 향한 연꽃무늬가 간결하게 형상화되어 있다. 광배는 표현하지 않았고 가슴에는 커다란 복장(腹藏) 구멍이 나 있다. 머리 위로도 네모난 구멍이 여러 개 뚫려 있는데, 이는 불상을 보호하기 위해 지붕만 있는 누각 형태의 목조 전실(前室)을 설치했던 흔적으로 보인다. 사람들은 이 마애불을 미륵불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불상의 복장에는 신기한 비결이 숨겨져 있다는 전설이 전해져서 동학의 주도세력들이 미륵의 출현을 내세워 민심을 모으기 위해 복장의 비기를 꺼내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마애여래좌상은 고려 초기의 거대한 마애불 계통 불상으로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