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원사
본문
한자1
[深源寺]
한자2
ⓢ
ⓟ
ⓣ
뜻(설명)
1)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에 있는 사찰로 8세기경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한다.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이 지은 시에서 심원사를 고사(古寺)라고 칭한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 이전부터 있었던 사찰로 보인다. 조선 중종 때 지원(智遠)이 중수했다는 기록이 있고,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1799년(정조 23)에 편찬된 『범우고(梵宇攷)』에는 폐사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18세기경 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2003년 성주군의 <국립공원 가야산지구 문화관광자원 복원 계획>에 의해 중창되었다. 2)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 보개산(寶蓋山)에 있는 사찰. 647년(진덕여왕 1) 영원(靈源)이 흥림사(興林寺)로 창건하였고, 859년(헌안왕 3) 범일이 중창하였다. 1393년(태조 2)에 화재로 전소되어 1396년(태조 5) 무학이 중창하고 심원사(深源寺)로 개칭하였다. 6·25전쟁 때 폐사된 후 1955년 김상기(金相基)가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내산리 보개산의 지금의 자리에 심원사를 복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