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고창 선운사만세루

본문

한자1
[高敞禪雲寺萬歲樓]
한자2
뜻(설명)
보물. 정면 9칸, 측면 2칸. 전라북도 고창군 선운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사찰 건물이다. 선운사는 다른 사찰과 달리 천왕문과 만세루, 대웅전이 연이어 위치하고 있는데, 가람의 전체 배치로 볼 때 천왕문, 만세루, 대웅전이 한쪽으로 치우쳐 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대양루열기』(1686년)와 『만세루중수기』(1760년)에 따르면, 고창 선운사 만세루는 1620년(광해군 12) 대양루로 지어졌다가 화재로 소실된 것을 1752년(영조 28) 다시 지은 건물로 정면 9칸, 측면 2칸 규모의 익공(翼工: 공포의 구조 형식 가운데 하나) 구조 단층 건물이며 맞배지붕 형식이다. 처음에는 중층 누각 구조로 지어졌으나 재건하면서 현재와 같이 단층 건물로 바뀌었다고 하는데, 이는 누각을 불전의 연장 공간으로 인식하는 조선 후기의 경향을 보여준다. 만세루가 시대적 흐름을 적절하게 반영한 불교사원의 누각 건물이라는 평가를 받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만세루는 사찰 누각으로는 흔치 않은 정면 9칸을 형성하고 있는데, 현존하는 사찰 누각의 주류가 정면 3칸이고 규모에 따라 드물게 5칸이나 7칸 정도임을 감안하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창건 당시부터 건립되어 여러 차례 중수가 있었다. 넓은 평면에 비해 높이가 낮고 비규격적인 누(樓)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정면의 중앙칸이 양쪽 협칸(夾間)에 비해 두 배 정도 넓다. 건물의 가운데 3칸은 앞뒤 평주(平柱) 위에 대들보를 걸었고 좌우 각 3칸은 가운데 고주(高柱)를 세워 맞보를 거는 방식을 취했는데, 하나의 건물 안에서 두 가지 방식으로 보를 걸어 구조적 안전을 꾀하면서 동시에 누각의 중앙 공간을 강조하였다. 건물에 일부러 가공하지 않고 한쪽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 자연재 원목을 사용했다는 점 또한 선운사 만세루가 지닌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