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십경

본문

한자1
[十境]
한자2
뜻(설명)
『마하지관(摩訶止觀)』에서 천태종 10승관법(十乘觀法)의 대상으로 열 가지를 말하고 있다. (1) 음경(陰境): 색(色)·수(受)·상(想)·행(行)·식(識)의 오음. 특히 제5 의식을 관한다. (2) 번뇌경(煩惱境): 제1관(觀)에 따라 과거부터 쌓은 탐(貪)·진(瞋) 등의 중혹(重惑)이 나타나므로 이를 관한다. (3) 병환경(病患境): 앞에 2관을 닦음에 의하여 병이 나는 일이 있으므로 그 병의 근원을 관한다. (4) 업경(業境): 끝없는 옛적부터 지은 선·악의 업상(業相)이 나타나므로 지관(止觀)을 방해하지 않도록 업상을 관하여 퇴치한다. (5) 마사경(魔事境): 온마(蘊魔)·번뇌마·사마(死魔)·천마(天魔) 가운데 천마가 와서 침범하므로 이를 관한다. (6) 선정경(禪定境): 마군을 퇴치하려고 선정에 들어가면 사선(四禪)·십육특승(十六特勝)·통명선(通明禪) 등의 모든 선(禪)이 일어날 수 있는데, 도리어 선미(禪味)에 탐착하여 속박하게 되어 지관(止觀)에 방해가 된다. 이들 제선(諸禪)을 관한다. (7) 제견경(諸見境): 선정을 관하므로 진리와 비슷한 견해(見解)나 법을 듣고 깨달은 듯한 지해(智解)가 생기는 수가 있는데, 이들은 진정한 진리가 아니라 사견사해(邪見邪解)의 여러 가지 혹(惑)이므로 이러한 견(見)을 관한다. (8) 만경(慢境): 사견사해를 그치고 평정(平靜)한 마음이 나타나거든 이를 깨달은 경지로 잘못 알아 거만한 마음을 내므로 이를 관한다. (9) 이승경(二乘境): 거만한 마음이 없어지면 다시 공적한 것을 좋아하여 2 승심(乘心)에 떨어지므로 이를 관할 필요가 있다. (10) 보살경(菩薩境): 2승심이 없어지면 다시 사교(四敎) 중의 전3인 장교(藏敎)·통교(通敎)·별교(別敎)의 보살심이 생기므로, 이를 관하여 지식(止息)을 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