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륙관
본문
한자1
[十六觀]
한자2
ⓢ
ⓟ
ⓣ
뜻(설명)
아미타불의 불신이나 정토를 관상(觀想)하는 16가지 방법.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에서 위제희부인과 다음 세상에 날 중생들을 위하여, 극락세계에 왕생하는 방편으로 제시(提示)하고 있다. (1) 일관(日觀): 또는 일상관(日想觀). 떨어지는 해를 보면서 서쪽에 있는 극락정토를 관상(觀想)한다. (2) 수관(水觀): 또는 수상관(水相觀). 극락의 대지가 넓고 평탄함을 물과 얼음에 비교하여 관상한다. (3) 지상관(地想觀): 분명하게 극락의 대지를 관상한다. (4) 보수관(寶樹觀): 극락에 있는 보수(寶樹)의 묘용(妙用)을 관상한다. (5) 보지관(寶池觀): 극락에 있는 연못의 8공덕수의 묘용을 관상한다. (6) 보루관(寶樓觀): 극락의 5백억 보루각(寶樓閣)을 관상한다. (7) 화좌관(華座觀): 칠보로 장식한 부처님의 대좌(臺座)를 관상한다. (8) 상관(像觀): 형상과 관상하는 데 나타나는 금색상(金色像)을 관상한다. (9) 진신관(眞身觀): 진정한 부처님의 몸을 관상한다. (10) 관음관(觀音觀): 아미타불의 협시보살인 관세음을 관상한다. (11) 세지관(勢至觀): 아미타불 곁에 있는 대세지보살을 관상한다. (12) 보관(普觀): 극락의 주불(主佛)인 아미타불과 그를 위요(圍繞)한 온갖 것을 두루 관상한다. (13) 잡상관(雜想觀): 우둔한 이를 위하여 1장(丈) 6척의 아미타불상을 관상케 하는 것이다. (14) 상배관(上輩觀). (15) 중배관(中輩觀). (16) 하배관(下輩觀): 각기 상·중·하의 삼류(三類)가 있으니, 각자가 자기에게 적당한 행업으로 왕생할 것을 관상하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