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우도
본문
한자1
[十牛圖]
한자2
ⓢ
ⓟ
ⓣ
뜻(설명)
심우도(尋牛圖)라고도 한다. 중국 송나라 때 곽암(廓庵)선사가 창설했다고 하며, 청거(淸居)선사가 처음 그렸다는 설도 있으나 명확하지 않다. 보통 곽암이 자서(自序)와 게송(偈頌)을 지어 선(禪)을 닦아 마음을 수련하는 순서를 표시한 것이라 한다. 우리나라에는 곽암본과 보명(普明)본이 전해져 왔으며, 이 두 가지가 조선시대까지 함께 그려졌다. 곽암본은 처음부터 마지막 단계까지 원상(圓相) 안에 그림을 그리지만, 보명본은 마지막 그림에서만 원상을 그린다. 곽암본을 기준으로 십우는 심우(尋牛), 견적(見跡), 견우(見牛), 득우(得牛), 목우(牧牛), 기우귀가(騎牛歸家), 망우존인(忘牛存人), 인우구망(人牛俱忘), 반본환원(返本還源), 입전수수(入纏垂手)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의 본래면목을 소에 비유하여, 소를 찾고 얻는 순서와 이미 얻은 뒤에 주의할 점을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