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십이부경

본문

한자1
[十二部經]
한자2
뜻(설명)
십이분경(十二分經) 혹은 십이분교(十二分敎)라고도 한다. 부처님의 일대교설(敎說)을 그 경문의 성질과 형식에 따라 12로 나눈 것이다. (1) 수다라(修多羅): 계경(契經)·법본(法本)이라고 번역하며 산문체의 경전이다. (2) 기야(祇夜): 중송(重頌)·응송(應頌)이라고 번역하며, 산문체 경문의 뒤에 그 내용을 운문(韻文)으로 노래한 것이다. (3) 수기(授記): 경 중에 말한 뜻을 문답 해석하고, 또는 제자의 다음 세상에 날 곳을 예언한 것이다. (4) 가타(伽陀): 풍송(諷頌)·고기송(孤起頌)이라고 번역하며 4언(言), 5언(言) 또는 7언의 운문(韻文)으로 설한 것을 말한다. (5) 우타나(優陀那): 무문자설(無問自說)이라고 번역하며 남이 묻지 않는데 부처님이 스스로 말씀한 경을 말한다. 『아미타경(阿彌陀經)』 등이다. (6) 니타나(尼陀那): 연기(緣起)·인연(因緣)이라고 번역하며, 경 중에서 부처님을 만나 법을 들은 인연 등을 말한 것이다. (7) 아파타나(阿波陀那): 비유(譬喩)라고 번역하며, 경전 중에서 비유로 은밀(隱密)한 교리를 명백하게 한 부분이다. (8) 이제왈다가(伊帝曰多伽): 본사(本事)라고 번역하며, 부처님이나 제자들의 지난 세상 인연을 말한 것이다. 사타가는 제하였다. (9) 사타가(闍陀伽): 본생(本生)이라고 번역하며, 부처님 자신의 지난 세상에 행하던 보살행을 말한 것이다. (10) 비불략(毘佛略): 방광(方廣)·방등(方等)이라고 번역하며, 방정(方正)하고 광대한 진리를 말한 것이다. (11) 아부타달마(阿浮陀達摩): 미증유법(未曾有法)·희유법(希有法)이라고 번역하며, 부처님이 보이신 여러 가지 신통력부사의(神通力不思議)를 설한 것이다. 경전의 흥기한 인연[興起因緣]에 부사의한 일을 말하는 것과 같다. (12) 우바제사(優波提舍): 논의(論議)라고 번역하며, 교법의 의리를 논하고 문답한 경문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