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연기
본문
한자1
[十二緣起]
한자2
ⓢ
ⓟ
ⓣ
뜻(설명)
12인연(因緣)·12유지(有支)·12지(支)·12인생(因生)·12연문(緣門)·12견련(牽連)·12극원(棘園)·12중성(重城)·12형극림(荊棘林)이라고도 한다. 삼계에 대한 미(迷)의 인과를 12로 나눈 것이다. (1) 무명(無明): 미(迷)의 근본인 무지(無知), (2) 행(行): 무지로부터 다음의 의식 작용을 일으키는 동작, (3) 식(識): 의식 작용, (4) 명색(名色): 이름만 있고 형상이 없는 마음과 형체가 있는 물질, (5) 육처(六處): 안(眼)·이(耳)·비(鼻)·설(舌)·신(身)의 오관(五官)과 의근(意根), (6) 촉(觸): 사물에 접촉함, (7) 수(受): 외계(外界)로부터 받아들이는 고(苦)·낙(樂)의 감각, (8) 애(愛): 고통을 피하고 즐거움을 구함, (9) 취(取): 자기가 욕구하는 물건을 취함, (10) 유(有): 업(業)의 다른 이름으로 다음 세상의 결과를 불러올 업, (11) 생(生): 몸을 받아서 태어남, (12) 노사(老死): 늙어서 죽음을 말한다. 연기를 해석하는 방식에는 일찰나(一刹那)에 십이연기를 갖춘다는 학설과 시간적으로 삼세(三世)에 걸쳐 설명하는 2종이 있다. 뒤의 뜻을 따르면 양중인과(兩重因果)가 있다. 곧 식(識)에서 수(受)까지의 5를 현재의 5과(果)라고 하고, 무명·행을 현재의 과보를 받게 한 과거의 2인(因)이라고 한다[過現一重因果]. 다음의 애·취는 과거의 무명과 같은 혹(惑)이요, 유(有)는 과거의 행과 같은 업(業)이니, 이 현재는 3인(因)에 의하여 미래의 생·노사의 과(果)를 받는다고 한다[現末一重因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