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십중장

본문

한자1
[十重障]
한자2
뜻(설명)
보살이 수행하는 계위(階位)인 52위(位) 중 십지(十地)에서 각 지(地)마다 1장(障)씩 끊는 열 가지 번뇌를 의미한다. (1) 이생성장(異生性障): 범부의 성질인 번뇌장(煩惱障)·소지장(所知障)의 종자를 끊고 성성(聖性)을 얻는 것으로, 초지(初地)에 들어갈 때 끊는 장애. (2) 사행장(邪行障): 삼업(三業)으로 죄를 범하게 하는 번뇌, 그 체(體)는 구생기(俱生起) 소지장의 일분(一分)이니, 제2지에 들어갈 때 끊는 장애. (3) 암둔장(闇鈍障): 구생기(俱生起) 소지장의 일분이니, 듣고 생각하는 경계를 잊게 하는 번뇌, 제3지의 승정(勝定)과 정(定) 등이 발생하는 수승한 3혜(慧)를 장애하므로 제3지에 들어갈 때 끊음. (4) 미세번뇌현행장(微細煩惱現行障): 온갖 법이 실유(實有)하다고 고집하는 번뇌, 구생기 소지장의 일분으로 제6식과 함께 있는 신견(身見) 등을 말하니, 제4지에 들어갈 적에 끊음. (5) 어하승반열반장(於下乘般涅槃障): 보살이 생사를 싫어하고 열반을 좋아하는 것이 하승(下乘: 2승)과 같게 하는 번뇌, 제5지의 무차별도에 들어감을 막는 것이므로 제5지에 들어갈 때 끊음. (6) 추상현행장(麤相現行障): 소지장 중 구생기의 일분, 4제(諦) 중의 고(苦)·집(集)을 염(染)이라고 하고 멸(滅)·도(道)를 정(淨)이라고 하여 서로 차별하다고 집착하여 일어나는 번뇌. 이것이 제6지의 무염정도(無染淨道)를 장애하므로 제6지에 들어갈 때 끊음. (7) 세상현행장(細相現行障): 소지장 중 구생기의 일분, 고·집의 유전(流轉)과 멸·도의 환멸(還滅)을 믿어 생멸하는 세상(細相)이 있다고 집착하여 일어나는 번뇌로 이것은 제7지에 들어갈 때 끊음. (8) 무상중작가행장(無相中作加行障): 소지장 중 구생기의 일분으로, 무상관(無相觀)을 자재하게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번뇌. 제8지에 들어갈 때 끊음. (9) 이타중불욕행장(利他中不欲行障): 소지장 중 구생기의 일분으로, 이타(利他)보다도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수행하려는 번뇌로 이것은 제9지의 사무애해(四無礙解)를 장애하므로 제9지에 들어갈 때 끊음. (10) 어제법중미득자재장(於諸法中未得自在障): 소지장 중 구생기 번뇌의 일분으로, 온갖 법을 두루 반연하는 데 자재하지 못하게 하는 번뇌로 제10지에 들어갈 때 끊음. 그러나 오히려 선천적으로 있는 미세한 소지장과 번뇌장의 종자가 남았으므로, 이것은 십지의 최후에 금강유정(金剛喩定)의 정심(定心)이 나타날 때 일시에 끊어버리고 불위(佛位)에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