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십지

본문

한자1
[十智]
한자2
뜻(설명)
1) 부파에서 말하는 열 가지 지혜를 말한다. (1) 세속지(世俗智): 세속의 일에 대하여 일어나는 지혜. (2) 법지(法智): 욕계의 고(苦)·집(集)·멸(滅)·도(道)를 대상으로 하여 일어나는 지혜. (3) 유지(類智): 색계·무색계의 고·집·멸·도를 대경으로 하여 일어나는 지혜. (4) 고지(苦智). (5) 집지(集智). (6) 멸지(滅智). (7) 도지(道智). (8) 타심지(他心智): 남의 마음을 아는 지혜. 다만 하지(下地)의 타심지는 상지(上智)를 알지 못하고, 열지(劣智)는 승지(勝智)를 가진 이의 마음을 알지 못한다. 현재의 모든 법을 알지만, 과거·미래의 모든 법을 알지 못함과 같이 어떤 부분에만 유효(有效)한 지혜이고, 온갖 것에 효력을 내는 것은 아니다. (9) 진지(盡智): 일체 번뇌를 다 끊었을 때 생기는 지혜. (10) 무생지(無生智): 승지이근(勝智利根)의 보살이 일으키는 지혜. 고(苦)를 알고 집(集)을 끊으며, 멸(滅)을 증득하려고 도(道)를 닦는 것을 마치고, 다시 지(知)·단(斷)·증(證)·수(修)할 것이 없음을 자각하여, 자기에게 다시 지·단·증·수할 것이 없음을 아는 지혜. 2) 부처님의 열 가지 지혜. 십종지(十種智)와 같다. 3) 80권본 『화엄경(華嚴經)』 제16권에서 설하고 있는 걸림이 없는 변재(辯才)를 내는 지혜로 무애지(無礙智), 무착지(無著智), 무단지(無斷智), 무치지(無癡智), 무외지(無畏智), 무실지(無失智), 무량지(無量智), 무승지(無勝智), 무해지(無懈智), 무탈지(無奪智)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