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쌍계사

본문

한자1
[雙溪寺]
한자2
뜻(설명)
1) 경기도 안산시 북동 대금산에 있는 사찰이다. 일명 쌍계사(雙雞寺). 2) 경기도 양평군 통방산에 있던 사찰. 쌍계암을 말한다. 3) 충청북도 괴산군 빙각산에 있던 사찰이다. 4)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중산리 불명산에 있는 사찰이다. 5) 전라북도 김제시 묘고산에 있던 사찰이다. 6)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주평리 남방 산기슭에 있던 사찰이다. 7)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앵남리에 있던 사찰이다. 8)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덕룡산에 있던 사찰이다. 854년(문성왕 16) 임제(臨濟)의 법손(法孫) 백운(白雲)이 창건하였다. 고려 1263년(원종 4) 승아(僧阿)국사가 절 앞 용못을 메우고, 큰절을 지었다고 전한다. 9)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 첨찰산에 있는 사찰이다. 10) 제주도 한라산에 있던 사찰. 곧 두타사이다. 11)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평촌리 수도산 있는 사찰. 청암사에 속한 암자이다. 12) 경상북도 경산시 선의산에 있던 사찰이다. 13) 경상북도 청송군 보현산에 있던 사찰이다. 14)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당포1리 있던 사찰이다. 15)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서곡리 도봉산에 있는 태고종 사찰이다. 쌍봉당대선사 사리탑비(雙峰堂大禪師舍利塔碑)가 있다. 16) 함경북도 명천군 백록산에 있는 사찰. 일명 상계사(霜桂寺)이다. 17) 함경남도 정평군 오봉산에 있던 사찰이다. 18) 함경북도 경성군 백록산에 있던 사찰이다. 19) 평안남도 대동군 용악면 상차리 신사동 동북쪽 산기슭에 있던 사찰이다. 20) 평안남도 맹산군 도리산에 있던 사찰이다. 21) 황해도 신계군 학봉산에 있던 사찰이다. 22) 황해도 재령군 철현에 있던 사찰이다. 23) 황해도 신천군 구월산 패엽사 산내에 있던 사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