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본문

한자1
[訶]
한자2
ha
뜻(설명)
(또는 遏·旑·婀·噁·惡) 실담 12운(韻)의 하나이며 50자문(字門)의 하나이다. 범어에서는 아(阿, a)를 온갖 언어·문자의 기본이라고 하지만, 밀교에서는 여러 가지 뜻을 붙여 해석한다. 1) 아(阿) 자에 초불생(初不生)의 뜻이 있다고 한다. 이것은 아 자를 들으면 처음이나 근본의 뜻을 가진 아제(阿提, ādi)의 문자, 혹은 불생(不生)의 뜻을 가진 아누파다(阿耨波陀, anutpāda)의 문자를 생각하므로 아 자에 이러한 뜻이 있다고 하는 것이다. 2) 본불생(本不生)의 뜻이 있다고 한다. 만물의 근본 원초(元初)인 것은 그 자신이 원초이므로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원인이 있지 않다고 한다. 아 자는 온갖 문자의 근본이며 기초이기 때문에 본불생의 뜻이 있다고 해석한다. 3) 범어의 아 자는 부정하는 말로서 무(無)·불(不)의 뜻을 가졌으므로 무상(無常: 阿儞怛也, anitya)의 뜻이 있다고 하고, 또 바뀌어 불파괴(不破壞)·불류(不流)·무래(無來)·무거(無去)·무행(無行)·무주(無住)·무본성(無本性) 등의 뜻이 있다고 해석한다. 이밖에도 범어학에서는 아 자에 4종의 변화형(轉化: 阿·阿·引·闇·惡)과 5종의 변화형(阿·阿·引·暗·惡·惡·引)을 들고, 4종 변화형으로 발생한 것을 발심·수행·보리·열반으로, 5종 변화형으로 발생한 것을 보리심(菩提心)·행(行)·성보리(成菩提)·대적열반(大寂涅槃)·방편(方便)의 다섯 가지 변화[轉]로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