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도
본문
한자1
[下獅子庵]
한자2
ⓢ
ⓟ
ⓣ
뜻(설명)
고구려 승려. 또는 아도(我道)·아두(阿頭). 240~248년(위나라 정시 연중)에 위나라 사람 아굴마가 왕명으로 고구려에 왔다가 고도령과 통정하여 아도가 태어났다. 어머니에 의해 5세에 출가하였으며, 16세에 위나라에 가서 자신의 아버지 아굴마를 만났다. 아도는 현창(玄彰)의 밑에서 수학하였으며, 19세 때 귀국하여 다시 어머니 명으로 신라에 가서 왕성의 서리에 거주하였다. 신라 263년(미추왕 2) 궁궐에 나아가 불교 전법을 청하다가 사람들의 미움을 받고 속림(일선현)에 있는 모록(모례)의 집에서 3년 동안 은거하였다. 마침 공주가 병이 나서 사방으로 의사를 구할 때, 아도가 왕성에 들어가 병을 치료하니 왕이기뻐하며 절을 짓고 불교를 일으키게 하였다. 그 때 신라 풍속이 검소하여 초가로 흥륜사(興輪寺)를 처음 짓고 스님이 설법하니 하늘 꽃이 떨어졌다고 한다. 모례의 누이 사 씨(史氏)도 비구니가 되어 삼천기에 영흥사(永興寺)를 지었다. 후에 미추왕이 죽으니, 백성들이 스님을 해치려 하므로 모례의 집에 돌아와서 무덤을 만들고 들어가 다시 나타나지 않았다고 한다. 『삼국유사(三國遺事)』·『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아도가 신라 소지왕 때 시자 3인을 데리고 일선군 모례 집에 가서 있다가 수년 후에 병 없이 죽었고, 시자 3인은 경률을 강독, 가끔 믿는 이가 있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