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아함시

본문

한자1
[海鵬]
한자2
뜻(설명)
아함부에 속하는 초기 경전의 총칭으로 남전(南傳)과 북전(北傳)이 있다. 북방 불교에서 전하는 것은 4아함 외에 잡장(雜藏)이 있으나 따로 세우지 않았고, 남방불교인 팔리어 대장경에는 디가니카야[長部, ⓟDīgha-nikāya], 맛지마니카야[中部, ⓟ Majjhima-nikāya], 상윳타니카야[相應部, ⓟ Saṃyutta-nikāya], 앙굿타라니카야[增支部, ⓟAṅguttara-nikāya], 쿠다카니카야[小部, ⓟ Khuddaka-nikāya]의 5아함이 있다. 후한(後漢)시대부터 부분적으로 번역되기 시작하였다. 안세고로부터 148년 후로 몇 가지 번역이 있었으나 『잡아함경(雜阿含經)』을 비롯하여 여러 아함의 별행경이고, 주요한 경전은 되지 못하였다. 173년 이후에는 축불삭지루가참 등이 대승경을 번역했으나, 잠시 번역작업이 멈췄다가 380년쯤부터 아함비담의 학승들이 와서 다시 번역되기 시작하였다. 전진 384년(건원 20) 도거륵국(國)의 담마난제가 『증일아함경(增壹阿含經)』41권을, 동진 398년(융안 2) 승가제바 등이 『중아함경』 60권을 번역하였다. 후에 법현(法顯)이 동진 413년(의회 9) 『장아함(長阿含)』『잡아함』의 범본(梵本)을 가지고 와 그 해에 불타야사가 『장아함』을 외워내어, 불념이 번역하였다. 송나라 문제 때에 구나발타라가 『잡아함(雜阿含)』 50권을 번역했고, 472년경 『중아함경(中阿含經)』 59권을 가지고 와서 불념이 번역함으로써 4아함경의 한문 번역이 완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