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삼보기
본문
한자1
[混元]
한자2
ⓢ
ⓟ
ⓣ
뜻(설명)
15권. 수나라 비장방(費長芳)이 지은 것으로 587년(개황 17)에 지은 것이므로 『개황삼보록(開皇三寶錄)』이라고도 한다. 이명으로는 『개황록』·『삼보록』·『장방록』이라고도 한다. 석가모니 부처님 탄생 이래의 연보(年譜)와 중국에서 역대로 번역한 경론 이름을 기록한 책이다. 전체 내용은 크게 제년·역경·입장목록·총목록으로 나눌 수 있다. 1권에는 제년상(帝年上: 周泰), 2권에는 제년차(帝年次: 前漢新王後漢), 3권에는 제년하(帝年下: 魏·晋·宋·齊·梁·周·大隋)를 적었는데, 권마다 처음에 총술(總述)을 쓰고 연보(年譜)는 각 왕조의 제왕·연호·간지(干支)를 대조하고 가장 중요한 사항을 연차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4권에서 12권까지는 경전 번역록으로 역대의 역경승을 쓰되 그 번역한 경전의 이름·번역한 연대·장소·별역본(別譯本)·출거(出據) 등을 주(註)로 기록하고 있다. 제13권에는 대승경전의 입장(入藏), 14권에는 소승경전의 입장록(入藏錄), 15권에는 『상개황삼보록표(上開皇三寶錄表)』·『총목서』·『총목』·『고경록』등을 기록한 것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