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역산집

본문

한자1
[紅蓮華]
한자2
Padma
뜻(설명)
2권 1책. 조선시대 역산선영(櫟山善影, 1792~1880)의 시문집. 활자본. 권두에는 1883년 김조영(金祖永)이 쓴 서와 법손인 심주(心舟)가 쓴 서가 있고, 권말에는 이유원(李裕元)이 쓴 「영허대사비명」과 문인 계암(戒庵)이 지은 행장, 영응(靈應)이 지은 영찬(影贊), 안변부사 윤조영(尹祖榮)과 영응이 쓴 발문이 있다. 필사본인 규장각본에는 1884년에 덕원부사 정현석(鄭顯奭)이 쓴 서문이 있다. 상권에는 5언절구 29수, 5언율시 16수, 7언절구 28수, 7언율시 47수, 7언고시 및 부(賦) 1수가 수록되어 있다. 하권에는 서(書) 7편, 기 8편, 상량문 5편, 서(序) 7편, 비문 4편, 영찬 14편, 권선문 5편, 소별(疏別) 7편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선풍과 불법이 담긴 시가 많으며, 절에서 수도하며 자신의 심회나 기쁨을 노래한 시, 스님 및 유학자들과 교류한 시가 많다. 산문 가운데 「심성정설(心性情說)」은 심성정에 대해 불교의 입장에서 논지를 편 독특한 글이다. 함경남도 안변 설봉산 석왕사 내원암(內院菴)에서 조선 1888년(고종 25) 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