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연대암

본문

한자1
[話頭]
한자2
뜻(설명)
1) 경기도 과천시 관악산에 있던 사찰이다. 2)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 광덕산에 있던 사찰이다. 조선시대에는 복천사[福泉寺: 현재 강천사(剛泉寺)]의 부속 암자였으며, 일제강점기에는 백양사(白羊寺)의 말사였다. 조선 초에 신령(信靈)이 창건하였으며, 중조(中照)가 중창하였다. 이때는 부도암이라고 하였다. 1482년(성종 13)에 약비(若非)·비구니가 모연문을 얻어 이후 연대암이라 불렀다. 소요태능이 선사(禪社)를 결성하였으며, 설담자우(雪潭自優)·나암승제(懶庵勝濟) 등이 화엄강원을 개설하였다. 이후 몇 차례 중창되었으나 625전쟁 때 소실되었다. 3)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도솔산 선운사 산내에 있던 암자였다. 신라 때 창건하였으며, 조선 1510년(중종 5) 흥안이 중건하였다. 4)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예성리 연화산(蓮華山)에 있는 옥천사(玉泉寺)의 산내 암자이다. 1639년(인조 17) 창건되었으며, 1894년(고종 31)에 용파 등과 신도들이 칠성계(七星契)를 연대암에서 결성하였다. 5)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삼지리 석굴에 있는 암자이다. 신라시대에 창건된 영혈사(靈穴寺) 옛터에 임진왜란 후 조사월(趙沙月)이 재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