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불사
본문
한자1
[會三歸一]
한자2
ⓢ
ⓟ
ⓣ
뜻(설명)
1) 경상북도 경주시 남산에 있던 사찰로 피리사의 다른 이름이다. ⇨염불사(念佛師). 2) 서울시 노원구 상계동에 있는 사찰이다. 3)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삼성산에 있는 사찰이다. 『가람고(伽藍考)』『범우고(梵宇攷)』 등에는 염불암(念佛庵(菴))으로 기록되어 있다. 창건과 관련하여 두 가지 설이 있다. 926년(태조 9)에 태조가 후백제를 공격하기 위해 남행하던 중 보았던 도승 능정(能正)의 좌선처에 안흥사(安興寺)를 창건하였다. 이곳이 염불사의 전신이다. 다음으로 신라 문무왕대에 원효의상윤필 등이 암자를 창건하였는데, 세 성인이 수도염불(修道念佛)하였기 때문에 산 이름을 삼성산이라고 했으며, 암자 이름을 염불암이라 하였다. 조선 1407년(태종 7) 왕명으로 중창하고, 1856년(철종 7)에 청호도인 등이 칠성각을 창건하였다. 1904년(광무 8) 호남 보정이 중수, 1927년 주지 성념(聖念)거사 박정신이 중수하였으며 계속하여 세심루산신각을 짓고 정전칠성각을 중수하였다. 4) 충청남도 논산시 마야산에 있던 사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