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염불암

본문

한자1
[廻施]
한자2
뜻(설명)
1)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용리 비슬산(毗瑟山)에 있던 암자이다. 절터에는 석축과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탑이 있다. 2)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팔공산(八公山)에 있는 동화사(桐華寺)의 산내 암자이다. 극락전 옆에 마애불상이 새겨진 바위가 있어 바위에서 염불소리가 들렸기 때문에 염불암이라 한다. 신라 928년(경순왕 1) 영조(靈照)가 창건하였고, 조선 1612년(광해군 4) 유찬(惟贊)이 중창, 1699년(숙종 25)에는 승변(勝卞)이 중창, 1803년(선조 3) 의암(義庵)이 중창하였다. 3) 울산광역시 북구 대안동 함월산(含月山)에 있는 암자로 신흥사(新興寺)의 산내 암자이다. 4)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영평리 서석산(瑞石山: 무등산)에 있던 암자이다. 5) 경상남도 남해군 이통면 용소리 호구산(虎丘山)에 있는 암자로 용문사(龍門寺)의 산내 암자이다. 1708년(숙종 34)에 중창되었다. 6) 경상북도 칠곡군 건령산에 있던 암자이다. 7)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있던 암자이다. 1617년(광해군 9) 이준(李埈)이 편찬한 상주읍지인 『상산지』에 동관음사(東觀音寺) 봉서암(鳳棲庵) 동쪽, 낙수암(落水庵) 서쪽에 있었으나 현재는 없다고 한다. 8)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오대산(五臺山)에 있는 암자로 월정사(月精寺)의 산내 암자이다. 창건 당시의 명칭은 수정사(水精社)수정암(水精庵)이었다. 9)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궁촌리 국수봉(國守峰) 동쪽 산허리에 있던 암자이다. 지금 사지는 궁촌리에 있으며, 『사탑고적고(寺塔古蹟故)』에 궁촌리의 산제당이 되었다고 하여 20세기 초에 폐사되었다. 10) 평안북도 강계군 서쪽 약 57km에 있던 사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