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영관

본문

한자1
[黑闇女]
한자2
Kālarātrī
뜻(설명)
(1485~1571) 조선시대의 승려로 호는 부용(芙蓉), 또는 은암(隱庵)이라고 하며, 혹 연선도인(蓮船道人)이라고도 한다. 속명은 구언(九彦)이다. 삼천포 사람으로 1485년(성종 16)에 태어났으며, 8세 때 아버지가 데리고 고기를 잡으면서 고기 바구니를 맡겼더니, 산 것을 모두 물에 놓아주었다고 한다. 아버지가 성내며 종아리를 치니 울면서 “사람이나 고기나 목숨을 아끼기는 마찬가지니 바라옵건대 용서하소서.”라고 하였다. 1497년(연산군 3) 13세에 집을 떠나 혼자 덕이산(德異山)에 가서 고행(苦行) 선자에게 의지하여 3년 동안 공부하다가 출가하였다. 17세에 신총(信聰)에게 교학을 배우고, 위봉(威鳳)에게 선리(禪理)를 얻어 구천동에 가서 손수 집을 짓고 9년을 지냈다. 1509년(중종 4) 용문산에 가서 조우(祖愚)를 만나 선리를 토론하였으며, 1514년 청평산에서 학매(學梅)에게 현미한 뜻을 물었다. 1519년 금강산 대존암에서 조운(祖雲)과 함께 두 여름을 지내고, 미륵봉 내원암에서 9년 동안 참선하였으며, 두류산에서 벽송지엄(碧松智儼)을 찾아 20년 동안 가졌던 의심을 풀고, 3년 동안 지엄을 모셨다. 후에 40년 동안 황룡산팔공산대승동 등 여러 곳으로 다니다가 1571년(선조 4) 고성 연곡사(燕谷寺)에서 입적했다. 세수 87세, 법랍은 72세였다. 제자는 청허휴정을 비롯하여 부휴선수법융영응정원 등이 있으며, 연곡사 서쪽 기슭에 부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