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사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1)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송말리 원적산(圓寂山)에 있는 사찰이다. 638년(선덕여왕 7)에 해호선사(海浩禪師)가 영원암(靈源庵)으로 창건하였으며, 수마노석(水瑪瑙石)으로 만든 약사여래좌상을 봉안하였다. 이후 1068년(문종 22)에 혜거국사(惠居國師)가 중창, 1577년(선조 10)에 사명대사(泗溟大師)가 중창하였으며, 1693년(숙종 19)에 동계설명이 중창하였다. 1825년(순조 25) 인암치감(仁巖致鑑)이 김조순(金祖淳)의 희사로 중창했다. 2)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검복리 남한산성 밖에 있던 사찰이다. 3) 경기도 동두천시 상봉암동 소요산(逍遙山)에 있던 사찰로 자재암(自在庵)의 옛 이름이다. 4)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산(七寶山)에 있던 사찰이다. 5)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삼정리 지리산에 있는 사찰로 영원암이라고도 한다. 영원(靈源)조사가 창건하였으며, 조선시대의 유명한 수행처로 부용(芙蓉)청허(淸虛)청매(靑梅) 세 스님이 이곳에서 수행했다고 한다. 1662년 불타고, 1665년 계탄이 중건하였으나, 1792년에 소실되어 1793년에 중봉태여(中峯泰如)가 중수하였다. 1914년 다시 소실되었으나 금파남파포광초월 등이 중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