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영은사

본문

한자1
한자2
뜻(설명)
1) 경기도 파주시 임진강 하류 용발산(龍發山)에 있던 사찰이다. 2)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공산(公山)에 있는 사찰로 영은암이라고도 한다. 1458년(세조 4)에 창건되었으며 묘은사(妙隱寺)라고 하였다. 임진왜란 때는 승병들의 훈련소로 사용되었으며, 1616년(광해군 8)에는 승장(僧長)을 두어 전국 8도의 사찰을 관장하였다. 1624년(인조 2)에 묘은사에서 이괄의 난을 피한 인조가 한양으로 돌아가 영은사라 개명하였다. 3)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 덕곡리 대둔산(大芚山)에 있던 사찰이다. 4) 전라북도 순창군 반룡산에 있던 사찰이다. 5)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산에 있는 내장사(內藏寺)의 다른 이름이다. 영은암(靈隱庵)이라고도 한다. ⇨ 내장사. 6) 경상남도 밀양시 종남산에 있던 사찰이다. 7) 경상남도 함양군 백전면 백운리 백운산에 있던 사찰이다. 신라의 영은조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진다. 8)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태백산에 있는 사찰이다. 891년 범일국사가 궁방산(宮房山) 아래에 절을 창건하고 처음에 궁방사(宮房寺)라고 하였다. 1567년(명종 22)에 사명대사가 현 위치로 절을 옮겨 중창하면서 운망사(雲望寺)라 하였고, 1641년(인조 19)에 벽봉이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사찰을 중건하고 영은사라고 하였다. 1804년(순조 4)에 대웅전이 화재로 소실되자, 이듬해 서곡이 중건하였다. 9) 강원도 철원군 보개산(寶蓋山)에 있던 사찰이다. 조선 1619년(광해군 11) 성일이 창건하였다. 10) 평안북도 정주시 성안에 있던 사찰이다. 11) 황해남도 배천군 강호리 운달산에 있는 강서사(江西寺)의 창건 당시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