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부석사무량수전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국보. 정면 5칸, 측면 3칸, 단층 팔작지붕의 주심포계 건물. 무량수전은 부석사의 본전(本殿)으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따르면 의상(義湘, 625~702)이 왕명으로 창건했다고 하며, 『봉황산부석사개연기(鳳凰山浮石寺改椽記)』에는 676년(문무왕 16)이라는 구체적인 창건 연대를 언급하고 있다. 봉황산 중턱에 있는 부석사는 의상대사가 화엄의 가르침을 펼치던 곳으로 무량수전 뒤에는 ‘부석(浮石)’이라고 새겨진 바위가 있다. 『송고승전』에는 의상이 당(唐)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서 이곳까지 따라와 부석사 창건을 도우며 의상을 수호했는데, 신통력으로 바위로 변하고 공중으로 날아올라서 도적 떼를 물리친 뒤 무량수전의 뒤편에 내려앉았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무량수전은 부석사의 중심 건물로 극락정토를 상징하는 아미타여래상을 봉안하고 있는데, 국보로 지정된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이 바로 그것이다. 특이하게도 협시보살 없이 독존으로만 동향으로 모셔져 있다. 내부 바닥에는 원래 푸른 유약을 바른 녹유전을 깔아서 매우 화려했는데, 이는 극락세계의 바닥이 유리로 되어 있다는 『아미타경』의 이상세계를 표현한 것이다. 무량수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건물로 공포 형식은 기둥 위에만 배치된 주심포계이다. 지붕은 팔작 형식으로 되어 있다. 「원융국사비문(圓融國師碑文)」에는 고려 1016년(현종 7) 원융국사가 무량수전을 중창했다고 한다. 원융국사는 1041년(정종 7) 부석사로 와서 화엄종통(華嚴宗統)을 이어받았고 입적할 때까지 이곳에서 주석했다. 1916년 해체 공사 때 발견된 묵서에는 1358년(공민왕 7) 왜구의 침입으로 건물이 불에 타서 1376년(우왕 2) 원융국사가 중수했다고 되어 있다. 무량수전은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목조 건축물 중 안동 봉정사 극락전(국보)과 함께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대 사찰 건축의 구조를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사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