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영주 부석사소조여래좌상

본문

한자1
한자2
뜻(설명)
국보. 불상 높이 2.78m, 광배 높이 3.8m. 고려 초기에 조성된 작품으로 추정되며 현재 부석사 무량수전에 봉안되어 있다. 소조 불상이란 나무로 골격을 만들고 진흙을 붙여 가면서 만드는 것으로, 이 불상은 고려시대의 유일한 소조 불상으로 유명하다. 뿐만 아니라 불상의 높이가 2.78m이고 광배의 높이가 3.8m나 되는 우리나라 소조 불상 가운데 가장 크고 오래된 작품이다. 광배는 불상의 뒤편에 따로 만들어서 가장자리가 불꽃으로 타오르는 모양을 형상화했다. 불상은 왼쪽 어깨만 걸치고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우견편단(右肩偏袒)의 법의를 착용하고 석가모니 부처님이 특징적으로 취하는 수인인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하고 있다. 그러나 불상이 봉안된 전각이 무량수전이고 서쪽을 향한 불단에 모셔져 있는 점, 부석사 ‘원융국사비(圓融國師碑)’ 비문의 “좌우에 다른 보처보살을 모시지 않고 아미타불 한 분만 모셨다.”라는 기록으로 미루어 아미타불로 추정된다. 안정감 있는 자세와 우견편단의 착의법, 옷주름의 표현 방식 등은 고려 초기의 불상들과 같은 계열의 양식을 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