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영천 화남리석조여래좌상

본문

한자1
한자2
뜻(설명)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왕산대길에 있으며 보물로 지정되었다. 경상북도 영천시 한광사(閑光寺)의 영천 화남리 삼층석탑과 함께 놓여 있는 석불좌상이다. 삼층석탑이 보물로 지정될 당시 석탑을 해체복원하는 중 발견되었으며, 석탑의 기단석 한 면을 열자 그 안에 불상이 모셔져 있던 것을 원래 있던 대좌(臺座)에 모신 것이다. 작은 소라 모양의 촘촘한 머리칼, 작고 둥근 얼굴, 좁은 어깨, 빈약한 체구 등에서 단정하게 참선하고 있는 승려의 모습을 느낄 수 있다. 양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양팔 끝까지 길게 늘어져 평행한 옷주름을 형성하고 있다. 배 부분에서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며 흘러내린 옷주름이 무릎과 다리까지 덮고 있는 모습이다. 손모양은 오른손으로 왼손 검지를 감싸고 있는 모습으로 이 불상이 비로자나불을 표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臺座)는 8각의 중대와 연꽃이 새겨진 상대하대로 이루어져 있다. 이전 시기의 불상보다 한층 더 규격화되고 가냘프게 표현된 것으로 볼 때 10세기경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