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통사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1) 경기도 가평군 화악산에 있던 사찰이다. 2) 황해북도 개성시 용홍동 오관산에 있는 사찰이다. 1027년(현종 18)에 창건된 고려시대의 주요 사찰로 여러 왕들이 거동(擧動)하였다. 고려의 왕들 가운데 인종의종명종신종충렬왕공민왕 등이 영통사에서 행향(行香)하고도 기우제(禱雨察)상재(祥齋)기신재(忌晨齋)화엄회(華嚴會) 등을 개설하였으며, 선대 왕들의 진영을 봉안하였다. 대각국사 의천(義天)이 영통사에서 공부하였으며 각훈(覺訓)이 주지로 있으면서 『해동고승전』을 지었다. 국보문화유물 5층석탑과 대각국사비가 있으며, 창건시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동서 3층석탑과 당간지주가 있다. 3) 황해북도 평산군 문무면 문구리에 있던 사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