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영흥사

본문

한자1
한자2
뜻(설명)
1) 충청남도 보령시 아미산에 있던 사찰이다. 2)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던 사찰이다. 3) 전라남도 영광군 군남면 용암리에 있는 사찰이다. 4)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던 사찰로 악동에 사지가 있다. 전불시대(前佛時代)의 칠처가람(七處伽藍) 터 중 한 곳인 삼천기(三川岐)에 지어진 사찰이다. 신라 때 모록(毛祿)의 누이 사시(史氏)가 비구니가 되어 삼천기에 절을 짓고 영흥사라고 하였다고 전해지나, 법흥왕의 왕비가 법흥왕 22년에 영흥사를 세웠다고도 하였다. 또한 진흥왕비가 출가하여 묘법니(妙法尼)가 되어 살았던 사찰이기도 하다. 684년(신문왕 4)에 영흥사에 성전(成典: 사찰 경영을 관리하던 관아)을 설치하였으며, 754년(경덕왕 13)에 왕이 관리에게 영홍사를 수리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