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예산 수덕사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및복장유물

본문

한자1
한자2
뜻(설명)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수덕사안길 79에 있으며 보물로 지정되었다. 수덕사 대웅전(국보)에 모셔져 있는 목조 삼세불좌상 및 복장 유물과 연화대좌, 수미단 등이다. 삼세불좌상은 수덕사의 중흥조(中興祖)인 만공(滿空)선사가 전북 남원에 있는 만행산 귀정사(歸淨寺)로부터 옮겨온 것이라고 한다. 중앙의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약사불, 왼쪽에는 아미타불이 자리하고 있다. 석가모니불이 주존으로 굽어보는 듯한 자세에 당당한 어깨와 넓은 무릎을 하여 안정되어 보인다. 육계의 구분이 불분명한 머리에는 중앙 계주와 정상 계주가 표현되어 있으며, 네모꼴의 각진 얼굴에는 근엄한 듯 부드러운 미소가 엿보인다. 귀는 길어서 어깨까지 늘어졌고, 가늘어진 목에는 세 개의 주름인 삼도(三道)가 뚜렷하다. 옷은 양어깨를 다 덮는 통견(通肩) 형식으로 오른팔이 드러나게 하여 17세기 불상들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손 모양은 왼손을 무릎 위에 두고 오른손을 무릎 아래로 내려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하고 있다. 약사불과 아미타불 또한 머리 모양, 얼굴 형태와 귀눈입코의 표현, 양손과 옷주름 선의 사실적 묘사 등이 본존불과 동일한 양식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약사불이 왼손을 위로 하고 오른손을 아래로 하여 엄지와 중지를 맞댄 채 오른손 바닥에 약그릇을 들고 있는 데 비해, 아미타불은 약사불과 손의 좌우가 바뀌고 약그릇이 보이지 않는 것만이 다를 뿐이다. 불상 안에서 발견된 ‘조성기’에 의하여 1639년(인조 17)에 수연(守衍)비구를 비롯한 7명의 화원(畵員)이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석가모니불이 앉아 있는 대좌형 수미단(須彌壇)은 고려시대 심원사(心源寺) 대웅전 불탁(佛卓)과 그 장엄 수법이 동일한 것으로, 금강저(金剛杵)삽화병(揷花甁)목단(牧丹)운파(雲波) 등 안상(眼象) 조각에서 고려시대 불탁의 특징을 살필 수 있다. 이 수미단의 기초는 좌우 일반형 탁자와 달리 대웅전 마루 저면 약 30cm 지점의 초기 평면과 동일하며, 그곳에서부터 육각의 저대석이 탁자를 지탱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성 시기는 대웅전 건립 연대(1308년)와 같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함께 수미단은 유일하게 대좌형 수미단을 육각과 장방형으로 각기 구성하고 있어 공예사적으로 귀중한 자료가 된다. 불상 안에서 나온 복장 유물은 전적류후령통(喉鈴筒) 및 오색실복식 등이 있다. 전적류는 발원문을 비롯하여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불설관세음경(佛說觀世音經)』 등의 경전과 진언문 및 다라니로서 17세기 초반에 간행된 목판본이 주를 이루고 있다. 후령통 안에는 각각 오방(五方)을 상징하는 오색의 사각형 직물 안에 원형, 금강저, 삼족(三足)과 육족(六足)의 번(幡)을 의미하는 형태의 직물이 들어 있었다. 오색실은 동서남북중앙을 상징하는 청색흰색홍색자주색황색의 실이다. 복식은 조선 중기 포(袍)에서 두루마기의 형태를 따르고 있으며 모든 직물의 색상이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어서 조선 중기 직물사 및 염색에 관한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