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관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다섯 가지의 관법이다. 1) 식사할 때 비구가 생각하는 다섯 가지의 관문(觀門)을 말한다. (1) 음식에 공이 얼마나 많이 들어갔는지를 헤아리며 음식이 여기까지 오게 된 공로를 생각한다. (2) 자기의 덕행이 공양을 받을 만한가 못한가를 헤아린다. (3) 마음을 방비하고, 허물을 여의기 위해서 삼독(三毒)을 경계하며 헤아린다. (4) 음식을 먹는 것을 약으로 여겨 몸이 병들지 않는 것에 만족하며 관한다. (5) 도업(道業)을 성취하기 위하여 이 공양을 받는 것이라고 관한다. 2) 오안(五眼)으로 보는 것으로 인해 생겨나는 차이를 말한다. (1) 육안(肉眼)은 색의 거친 모양을 관한다. (2) 천안(天眼)은 색(色)의 인과의 세밀한 상을 관한다. (3) 혜안(慧眼)은 색법(色法)심법(心法)의 거칠고 세밀한 상과 공제(空諦)의 이치를 관한다. (4) 법안(法眼)은 색심(色心)의 인과의 추한 상, 세밀한 상과 가제(假諦)의 모든 법을 관한다. (5) 불안(佛眼)은 앞의 4관을 겸하고 중도불성(中道佛性)의 이치를 관한다. 3)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에서 말하는 다섯 가지의 관법을 말한다. (1) 진관(眞觀)은 진실한 도리를 관찰하여 견사혹(見思惑)을 끊는 공관(空觀)이다. (2) 청정관(淸淨觀)은 견사혹의 오염을 제거한 청정한 신체에서 진사혹(塵沙惑)을 끊는 가관(假觀)이다. (3) 광대지혜관(廣大智慧觀)은 무명혹(無明惑)을 끊어 광대한 지혜를 얻는 중관(中觀)이다. (4) 비관(悲觀)은 앞의 세 가지 관법으로 중생을 관찰하여 중생의 고뇌를 소멸해 주는 관법이다. (5) 자관(慈觀)은 앞의 세 가지 관법으로 중생을 관찰하여 중생에게 즐거움을 주는 관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