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력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1) 불교에 대한 실천 방면의 기초적 덕목(德目)이 되는 5종을 말한다. 37조도품의 제5과로 수행에 필요한 다섯 가지의 힘이다. (1) 신력(信力): 불법을 믿고 다른 것을 믿지 않는 것이다. (2) 정진력(精進力): 선행을 짓고 악행을 멀리하는 것을 부지런히 행하는 것이다. (3) 염력(念力): 부처님의 가르침을 마음에 새기고 모든 사념(邪念)을 버리는 것이다. (4) 정력(定力): 선정(禪定)을 닦아 산란한 생각을 제거하는 것이다. (5) 혜력(慧力): 지혜를 닦아 불교의 진리인 사성제(四聖諦)를 깨닫는 것이다. 2) 불가사의한 작용이 있는 5종의 힘을 말한다. 분별식으로는 알 수 없는 다섯 가지 힘으로 오력난판(五力難判)이라고도 한다. (1) 정력(定力): 일체 선정의 힘을 말한다. (2) 통력(通力): 일체 신통력의 힘을 뜻한다. (3) 차식력(借識力): 이선천(二禪天) 이상에는 5식(五識)이 없으므로 필요하면 신통으로 자유롭게 초선천(初禪天)의 5식을 일으키는 것이다. (4) 원력(願力): 불보살의 큰 원을 뜻한다. (5) 법위덕력(法威德力): 불법의 위덕(威德)한 힘을 뜻한다. 3) 여래 설법의 다섯 가지 힘으로 언설(言說), 수의(隨宜), 방편(方便), 법문(法門), 대비(大悲)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