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관보현경

본문

한자1
[觀普賢經]
한자2
뜻(설명)
1권. 송나라 원가(元嘉) 때(424~453) 담마밀다 번역. 고려대장경에는 경전명 앞에 ‘불설(佛說)’이 추가로 명기되어 있다. 자세히는 『관보현보살행법경(觀普賢菩薩行法經)』이라 하며, 『보현관경』·『출심공덕경』이라고도 한다. 법화삼부경의 하나. 여래 입멸 석 달 전에 비야리국 대림정사(大林精舍)에서 아난·가섭·미륵 등의 물음에 대답하여 설한 것으로 보현관문(普賢觀門)·육근죄(六根罪)를 참회하는 법과 참회한 뒤의 공덕을 보인다. 이는 『법화경』 「보현보살권발품(普賢菩薩勸發品)」과 서로 안팎이 되며, 또 『법화경』의 결경(結經)이다. 다른 번역은 『보현관경(普賢觀經)』 1권(기다밀 번역), 『관보현보살경(觀普賢菩薩經)』 1권(구마라집 번역)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