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천사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1) 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에 있는 사찰로 통일신라 때에 창건한 옥천암 터에 자리잡은 사찰이다. 1915년 일제강점기 때에 토지등록 법적 분규로 폐사되었다가, 1975년 옥천사로 중창되었다. 2)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고천리 성황산에 있는 사찰이다. 3)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 백운산에 있는 사찰이다. 1666년(현종 7)에 절도사 유비연(柳斐然)이 관왕묘(關王廟: 현재 忠武祠)가 퇴락한 것을 보고 암자를 짓고 관왕묘를 수호하게 하였다. 이후 1801년(순조 1)에 암자를 중수하면서 옥천사라 하였다. 4)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화왕산 남쪽에 있던 사찰이다. 옥천사(玉川寺)라고도 쓴다. 고려 신돈의 어머니가 이 절의 노비였다고 전해진다. 5)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북평리 연화산에 있는 사찰이다. 696년(문무왕 16) 의상이 창건하였고, 1640년(인조 18) 학명(學明)의오(義悟)에 의해 중창되었다. 6) 울산광역시 북구 함월산에 있는 사찰로 일명 옥천암이라고 한다. 신라 931년(경순왕 5) 창건되었고, 1375년(우왕 1) 원음(圓音)이 중창하였다. 7)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구미리 북쪽 암곡산에 있던 사찰이다. 8)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비슬산에 있는 용천사(湧泉寺)의 본 이름이다. 9) 대구광역시 달성군 비슬산에 있던 사찰이다. 신라 의상의 화엄 10찰 중 하나이다. 10) 대구광역시 달성군 와룡산에 있던 사찰이다. 11)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북성리에 있던 사찰이다. 12) 전라남도 담양군 대덕면 문학리 옥천산에 있던 사찰이다. 13) 경상남도 하동군 화계면에 있는 쌍계사의 옛 이름이다. ⇨ 쌍계사. 14) 전라남도 광양시 옥곡면 대죽리에 있던 사찰이다. 15) 평안남도 중화군 천곡면 옥천산에 있던 사찰이다. 16) 평안북도 삭주군 좌리에 있던 사찰이다. 17) 황해북도 개풍군 청교면 진봉산에 있는 사찰이다. 865년(경문왕 5) 도선이 창건하고, 대한제국 1908년(융희 2) 향파가 중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