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 송광사대웅전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보물.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팔작지붕. 전라북도 완주 송광사에 있는 조선 후기에 중건된 전각이다. 송광사는 867년(경문왕 7) 도의가 처음으로 세운 절이다. 그 뒤 폐허가 되어 가던 것을 고려 중기에 보조국사가 제자에게 시켜 그 자리에 절을 지으려고 했으나 오랫동안 짓지 못했다. 「송광사개창비」에 따르면, 조선 1622년(광해군 14) 덕림선사(德林禪師)가 중심이 되어 응호승명운정득순홍신 등이 중창했다고 한다. 이후로도 1636년(인조 14)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확장공사가 있었고 송광사는 크게 번창하였다. 대웅전은 사찰의 중심 건물로, 1636년(인조 14) 벽암국사가 다시 짓고 1857년(철종 8) 제봉선사가 한 번 더 공사해 완성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 건물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규모이며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 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으로 추녀에는 활주를 받치고 있다. 공포가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대웅전의창군서’라고 쓰인 현판이 있는데, 의창군은 선조의 8번째 아들이자 광해군의 동생이다. 1636년(인조 14) 「송광사개창비」의 글도 의창군이 썼으며, 현판도 이 시기에 쓴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대웅전의 건립 시기를 파악하는 데도 참고가 된다. 다른 건물에 비해 가운데 칸이 좁고 문 위 벽면에 그림을 그려 넣은 것이 특징이다. 완주 송광사 대웅전에는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좌우에 아미타여래와 약사여래가 함께 모셔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