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법정리론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1권. K574, T1615. 미륵(彌勒) 지음. 당(唐)나라 때 현장(玄奘)이 647년에 취미궁(翠微宮)에서 번역하였거나, 또는 649년에 대자은사(大慈恩寺)에서 번역한 것으로 추정된다. 별칭으로 『정법정리론(正法正理論)』이라고도 한다. 『유가론(瑜伽論)』 결택분 중의 심사지(尋伺地)를 따로 발간한 것이다. 임금의 9종 과실9종 공덕5종 쇠손문(衰損門)5종 방편문(方便門)5종 가애법(加愛法)5종 능인가애법(能引可愛法)을 설하였다. 『출애왕경(出愛王經)』과 『삼사경(三士經)』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출애왕경』에서는 왕이 나라를 잘 다스리기 위하여 지녀야 할 9가지 덕행 등을 설명하고, 『삼사경(三事經)』에서는 행위의 차별과 재물을 베푸는 정도 및 계율을 지키는 정도에 따라 사람들을 세 부류로 나누어 설명한다. 이역본으로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의 제61권 섭결택분(攝決擇分)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