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원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생몰 연대 미상.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동문선(東文選)』에 자주 나오는 나잔자(懶殘子)가 바로 요원(了圓)이라는 견해가 제기되었다. 요원은 일찍부터 이색(李穡), 한수(韓脩) 등의 문인들과 교유하며 시문을 주고받았고, 조계종의 혼수(混修)와도 친분이 있었다. 1370년대에 판천태종사(判天台宗事)를 지냈고, 1380년대 중반경에 입적한 것으로 보인다. 제자로 휴상인(休上人)이 있다. 1377년(우왕 3) 『법화영험전(法華靈驗傳)』을 간행할 당시 판천태종사이자 용암사(龍岩寺) 주지였고, 승계는 대선사(大禪師)였다. 법호는 정혜(定慧)자인(慈忍)연묘(演妙)보제(普㴉)를 사용하였다. 1331년(충혜왕 1)에 왕사(王師)가 된 내원(乃圓)과는 다른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