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관음사

본문

한자1
[觀音寺]
한자2
뜻(설명)
1) 서울시 관악구 남현동에 있는 사찰. 2)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삼성산에 있는 사찰. 곧 삼막사(三幕寺). 3)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가천리 영원산에 있던 사찰. 조선 태종 때 자은종에 소속되었다. 4) 충청남도 천안시 남촌에 있던 사찰. 5) 충청남도 홍성군 상성산에 있던 사찰. 6)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제내리에 있던 사찰. 7)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에 있는 사찰. 현재 한국불교 태고종의 사찰이다. 고려 후기에 창건되었으며, 원래 보현사의 산내 암자로 안불암(安佛岩)이라는 명칭이었다고 한다. 창건주나 창건 시기 및 배경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조선 말까지 도량의 명맥을 유지하였으나 일제강점기에 폐사되어 그 후 사찰 터가 전답으로 사용되었다. 해방 후 1958년부터 현 주지의 부친인 승려 여공이 사찰 중창을 목적으로 이 전답을 조금씩 매입하여 불사를 하던 도중에 안불암의 절터에서 주자(鑄字) 및 석좌지장보살이 발굴되었다. 1968년 법운 김정문이 사찰 중건을 시작하여 현재의 면모를 갖추었다. 2001년에는 미얀마의 원도피 에일킬라 대승정이 주지 법운에게 석가여래 진신사리와 혈사리, 십대제자의 사리 등을 기증하였다. 이에 이곳에 팔각구층석탑을 조성하고 석가여래 진신사리 7과를 봉안하였다. 8) 전라남도 곡성군 오산면 선세리 성덕산에 있는 사찰. 300년(분서왕 3) 처녀 성덕(聖德)이 창건하고 1374년(공민왕 23) 중창되면서 원통전 등이 건립되었다. 국보로 지정되었던 원통전 등 고려 말기의 특색이 있던 건축물 등이 한국전쟁으로 소실되어 다시 중창하였다. 9) 경상남도 고성군 선유산에 있던 사찰. 10)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에 있는 사찰. 근대 사찰로 1911년에 ‘법찰대본산해인사본말사고령포교당(法刹大本山海印寺本末寺高靈布敎堂)’이라는 명칭으로 박보담(朴寶潭) 등에 의해 창건되었다. ‘조선불교선교양종선교파(朝鮮佛敎禪敎兩宗禪敎派)’의 사찰로 시작하여 박보담이 초대 주지로 취임하였으며, 1956년에 대한불교조계종 제9본산 동화사의 말사로 등록하였다. 11) 울산광역시 중구에 있는 사찰. 신라의 승려 자장(慈藏)이 당나라 유학을 다녀온 후 태화동에 창건한 태화사(太和寺)의 후신으로 알려져 있다. 12) 대구광역시 동구 도동에 있는 사찰. 13) 강원도 강릉시 금학동에 있는 사찰. 근대에 창건된 사찰로 조선시대의 불교 탄압 속에서 산에서 명맥을 유지해 온 불교계가 근대화의 일환으로 도심으로의 진출 과정에서 창건된 사찰 중 하나이다. 1922년에 당시 강원도의 3대 본산(本山)으로 대표적인 사찰이었던 금강산 유점사(楡岾寺), 고성 건봉사(乾鳳寺), 오대산 월정사(月精寺)에서 세운 강릉불교포교소가 관음사의 전신이다. 14) 강원도 이천군 고달산에 있던 사찰. 15) 강원도 정선군 비봉산 절벽 위에 있던 사찰. 신라 의상이 주석했던 곳. 16) 강원도 홍천군 석화산에 있던 사찰. 17) 강원도 양구군 사명산에 있던 사찰. 18) 제주도 제주시 아라동에 있는 사찰. 19) 강원도 통천군 군내면 태리 금강산에 있던 사찰. 신라 675년(문무왕 15) 의상이 창건하고 1846년(헌종 12) 영담도잠(影潭道潛)이 중건했다. 20) 함경남도 북청군 이곡면 상리 팔봉산에 있는 사찰. 21) 함경남도 정평군 도성산에 있던 사찰. 22) 함경북도 종성군 남산면 세천동 낙가산에 있는 사찰. 23) 평안북도 후창군 후창면 군내동 천마산에 있는 사찰. 24) 평안북도 강계군에 있던 사찰. 25) 평안북도 삭주군 검은산에 있던 사찰 26) 평안북도 박천군 효성산에 있던 사찰. 27) 평안북도 영변군 약산에 있던 사찰. 28) 평안남도 은산군 천성산에 있는 사찰. 29) 평안남도 순천시 왜가산에 있던 사찰. 26) 평안남도 개천시 고야산에 있는 사찰. 30) 평안남도 맹산군 공암산에 있던 사찰. 31) 평안남도 평원군 덕산면 삼정리에 있던 사찰. 32) 평안남도 평원군 와룡산 중덕에 있던 사찰. 33) 평안남도 덕천군 관음산에 있던 사찰. 34) 평안남도 양덕군 삼방산에 있던 사찰. 35) 황해도 연백군 치악산에 있던 사찰. 36) 황해도 황주군 읍 서쪽 평지에 있던 사찰. 37) 황해북도 개성시 천마산에 있는 사찰. 관음굴이라고도 한다. 970년(광종 19) 법인국사(法印國師)가 창건하고 1383년(우왕 9) 이성계(李成桂)가 중건했으며, 1393년(태조 2) 수선 확장하였다. 1935년 주지 근식(根植)이 중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