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용문사

본문

한자1
한자2
뜻(설명)
1)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 용문산에 있는 사찰이다. 신라 913년(신덕왕 2) 대경(大境)이 창건하였다. 고려 1378년(우왕 4) 지천(智泉)이 개풍 경천사의 대장경을 옮겨 봉안하였다. 조선 1395년(태조 4) 조안(祖眼)이 중창하고, 1477년(세종 29) 수양대군이 모후(母后)를 위하여 보전(寶殿)을 다시 짓고, 1458년(세조 3) 왕명으로 중수하였다. 1480년(성종 11) 처안(處安)이 중수, 1893년(고종 30) 봉성(鳳城)이 중창하였다. 1907년(융회 1) 의병(義兵) 때에 불타고, 취운(翠雲)이 큰방을 중건하였다. 1938년 주지 태욱(泰旭)이 대웅전여실각노전칠성각기념각사무실요사곳간 등을 중건하였다. 은행나무(천연기념물)와 권근(權近)이 지은 정지(正智)국사비가 있다. 2)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유천리 옹성산에 있던 사찰이다. 3) 경상남도 합천군 용주면 내가리 악견산에 있던 사찰이다. 현재 새로운 용문사가 건립되었다. 4) 전라남도 순천시 대광산에 있던 사찰이다. 5)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에 있는 사찰. 「용문암중수서(龍門庵重修序)」에 의하면 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이다. 1902년에 발간된 『여수읍지(麗水邑誌)』에는 “군의 서쪽 30리 지점의 마거산(馬距山) 아래에 있다.”고 용문사의 위치를 밝히고 있고, 1949년 발행된 『여수지』에서는 “군의 서쪽 30리 지점의 마거산에 있으니 신라 갑자(甲子)에 창건되었다고 전하나 연대를 밝힌 글이 없어 알기 힘들다.”고 전한다. 이후 1981년 『여수여천향토지』를 발간하면서 “여천군 용주리 마거산에 있다. 신라 효소왕 원년에 당나라 고승 도증법사가 창건했다고 하나 문헌이 없어 확인이 불가능하다. 전설에는 원효대사가 창건했다는 설도 있다.”고 기술하고 있으나 정확한 연대 및 창건주에 대한 내용은 신뢰할 수 없다. 6)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용소리 호구산에 있는 사찰이다. 신라 802년(애장왕 3) 창건되었고, 조선 1661년(현종 2) 학진(學進)이 보광사를 이 자리로 옮기고, 용연(龍淵) 위에 있다고 해서 용문사라 개칭하였다. 7)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 소백산에 있는 사찰이다. 신라 870년(경문왕 10) 두운(杜雲)이 창건하여 용문사라 하였다. 고려 936년(태조 19) 칙명으로 중건하고, 1165년(의종 19) 칙명으로 중수(重修)하였다. 1171년(명종 1) 태자의 태(胎)를 절문 바깥 좌비봉두에 묻고 용문산 창기사(昌基寺)라 고쳤다. 1179년(명종 9) 15년간 중건 공사를 낙성하고, 조선 1478년(성종 9) 소헌왕비 태실(胎室)을 봉안한 후 성불산 용문사라 개칭하였다. 1783년(정조 7) 문효세자(文孝世子) 태실을 봉안, 소백산 용문사라 개칭하였다. 1835년(헌종 1) 8월에 불타니 역파(櫟坡)가 상민부열 등과 함께 중건하였다. 8)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백화산에 있던 사찰이다. 옛 이름은 두역사(頭逆寺)로 상주목사 이익저가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9)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에 있는 사찰. 사찰 이름에서 보이듯이 용의 관문이란 뜻으로, 용이 승천하도록 하늘과 땅의 기운을 이어주려고 세운 사찰로 알려져 있다. 10)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에 있는 사찰이다. 11) 평안북도 창성군 당아산성 안에 있던 사찰이다. 12) 평안북도 구장군 용등로동지구(옛 영변군 용산면 용곡동) 검산(檢山)에 있는 사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