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용시녀경

본문

한자1
한자2
뜻(설명)
K270, T557. 고려대장경에는 경전명 앞에 ‘불설(佛說)’이 추가로 명기되어 있다. 오(吳)나라 때 지겸(支謙)이 222년에서 229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부처님이 유야리(維耶離)의 내씨수원(奈氏樹園)에 머물 때, 탁발을 나갔다가 장자 수복(須福)의 집 앞에 이르셨다. 수복에게는 용시라는 딸이 있었는데, 마침 목욕을 하고 나오다가 부처님을 뵙고는 기뻐하면서 보살행을 닦겠다고 다짐한다. 이것을 본 마귀는 그녀가 성불하여 자기 백성을 제도하면 큰일이라고 걱정한 나머지 용시의 아버지로 변장하였다. 불도는 얻기 어렵고 여자는 전륜성왕이 될 수 없음을 들어 그녀를 아라한의 길로 이끌고자 하나 용시는 보살도를 받들겠다는 뜻을 굽히지 않았다. 마귀가 보살행을 닦는 이는 세간을 탐하지 않고 목숨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말하자, 용시는 서슴없이 자신의 몸을 누각 아래로 던졌으나 땅에 떨어지지 않은 채 남자의 몸으로 변하였다. 이 광경을 본 부처님은 미소 지으시며 아난에게 용시가 장차 성불하여 용성(龍盛)부처님이 되리라고 말씀하신다. ⇨용시보살본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