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음암
본문
한자1
[觀音庵]
한자2
ⓢ
ⓟ
ⓣ
뜻(설명)
1) 경기도 양주시 도봉산 천축사 서쪽에 있던 사찰. 조선 태조가 기도했던 곳. 2)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상왕산에 있는 사찰로 보덕사의 부속 암자이다. 3)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미륵산에 있는 사찰로 용화사의 부속 암자이다. 4) 경상남도 진주시 유봉산에 있던 사찰. 5) 경상북도 달성군 해안면 도동리 낙가산에 있는 사찰. 834년(흥덕왕 9) 심지왕사(心地王師)가 창건하고 1933년 해산(海山)이 중건하였다. 6) 강원도 이천군 신내면 개운산에 있던 사찰. 관음사라고도 한다. 7) 강원도 회양군 금강산에 있던 사찰. 8)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설악산에 있던 사찰. 644년(선덕여왕 13)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창건했다. 백담사의 부속 암자인 오세암(五歲庵)의 전신이다. 9) 강원도 금화군에서 동쪽으로 4리쯤에 있던 사찰. 10) 강원도 금화군 적근산에 있던 사찰. 11) 강원도 고성군 금강산 신계사 서쪽에 있던 사찰. 12)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에 있는 사찰로 낙산사의 부속 암자이다. 관음굴이라고도 한다. 13)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만월산에 있는 사찰로 월정사의 부속 암자이다. 14)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있는 사찰. 1934년에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한국불교 태고종의 사찰이다. 15)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에 있는 사찰로 법주사의 부속 암자이다. 문무왕 3년(663)에 승려 회월(晦月)이 창건하였다. 전설에 따르면 회월은 60세에 이 암자를 창건하여 168세에 입적하여 100여 년 이상을 이곳에 살았다고 하는데, 솔잎을 먹으면서 매일 관음암의 장군수(將軍水)를 마셨던 것이 장수의 비결이었다고 한다. 16) 함경남도 북청군 나곡산에 있던 사찰. 17) 함경남도 함흥군 관음방에 있던 사찰. 18) 함경남도 신흥군 서고천면 중흥리 낙가산에 있는 사찰.